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가 북·미 정상회담 장소 선정 배경을 밝혔다. 미국과 북한이 싱가포르에서 회담을 개최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해왔고, 이를 흔쾌히 수락했다고 한다. 한 차례 회담이 취소됐지만 준비를 멈추지 않았기 때문에 예정대로 열릴 수 있었다고도 했다.
리 총리는 12일(미국시간) 방송된 CNN 인터뷰에서 “그들이 싱가포르에서 열고 싶다는 의사를 타진해왔고, 우리는 좋은 장소이며 준비가 돼 있으니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후 한동안 아무 말이 없다가 그들이 ‘좋다, 싱가포르에서 하겠다’고 연락했다. 그래서 준비를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또 “회담이 취소됐을 때도 우리는 준비를 중단하지 않았다. 다시 회담이 열리게 됐고 시간에 맞춰 준비할 수 있었다”고 부연했다.
리 총리는 이번 회담이 싱가포르 입장에서 어떤 의미인지 묻자 “양측이 동의할 수 있는 중립적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적인 정상회담이 이뤄질 수 있게 하고 그들(북한)과 세계를 위해 새롭고 생산적인 궤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 10일 이스타나궁에서 만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첫인상에 대해서는 “새로운 길을 가고 싶어 하는 것 같았다”며 “뭔가를 하려는 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 같았고 그래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려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서는 “실무팀 협상이 아직 진행 중이었기 때문인지 많은 말을 하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는 듯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이 (협상에) 진지한지를 트럼프 대통령이 가늠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12일 오전 9시(한국시각 오전 10시) 카펠라 호텔에서 첫 만남을 갖는다. 9시 15분부터 45분간 통역자만 배석한 채 일대일로 회담한 뒤 10시부터는 배석자가 합류할 계획이다. 오전 11시 30분쯤부터는 업무 오찬이 열린다. 김 위원장은 오후 2시 싱가포르를 떠나 귀국길에 오르고, 트럼프 대통령은 오후 7시에 출국한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