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초량동 일본영사관 옆 인도에 지난달 30일 설치된 ‘일제강제징용 노동자상’이 1개월여 만에 강제 철거돼 남구 대연동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으로 옮겨졌다.
부산 동구는 경찰 1500여명이 출동한 가운데 31일 오후 2시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강제 철거하는 행정대집행을 강행했다. 이 과정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노동자상을 끌어 안고 강제 철거에 저항했지만 경찰이 이들을 끌어내면서 일부 충돌이 빚어지기도 했다.
동구는 이날 지게차를 이용, 경찰이 에워싸고 있는 노동자상을 트럭에 싣고 일제강제동원역사관으로 이송했다.

시민단체들은 노동자상 강제 이송에 항의해 역사관 앞에서 격렬하게 항의하며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노동자상을 역사관에 임시 보관 해 놓은 것”이라며 “노동자상건립특위 측에서 문제가 되는 장소 외에 다른 장소를 원하면 그 쪽으로 이동 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건립특위는 일본의 전쟁범죄 사죄가 있을 때 까지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일본총영사관 앞에 건립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밝히면서 노동자상을 둘러싼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건립특위 관계자는 “외교적 관례를 들먹이며 노동자상을 철거했는데 외교는 국익을 우선시 하는 것”이라며 “일본 정부의 말에 우리나라 공권력이 움직이는 모습에 많은 시민들이 분노를 느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전쟁범죄에 대한 일본의 사과와 배상이 있기 전까지 노동자상을 소녀상 옆에 세우겠다는 우리의 입장은 변함없다”며 “추후 계획은 내부 논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부산 동구는 이날 구청에서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외교부 등 정부 측과 부산노동자상건립특위 측이 노동자상 설치 문제와 관련해 협상을 했지만 결렬됐다.
한편 시민 모금운동을 통해 1억700여만원의 예산으로 제작된 강제징용 노동자상은 높이 2m 규모로 마른 체구에 한 손에 횃불을 든 모습이다.
시민단체는 이달 초부터 이 노동자상을 일본총영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옆에 나란히 설치하기 위해 인근에 도로변에 노동자상을 임시 설치했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 주진우가 ‘이재명,김부선’ 중재했다는 녹취록
☞ ‘셀피’ 찍다 에스컬레이터서 아기 떨어뜨린 엄마
☞ “어려서좋아” 친딸 성폭행 父가 딸에 보낸 문자
☞ 유산한 아내에게 “자고 와도 되냐”는 남편
☞ 의학계 발칵 뒤집은 ‘70세 할머니’ 임신 소식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