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의 데이터 분석회사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가 5000만명 이상의 페이스북 이용자 개인 정보를 무단 도용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선거운동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은 최대의 위기를 맞았다. 당초 알려진 5000만건보다 훨씬 많은 8700만건이 유출된 사실도 추가로 밝혀졌다.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와 2인자 샌드버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늑장 대응으로 더 큰 비판을 사고 있다. 페이스북은 6일(현지시간) 정치 관련 광고주들에게 자금을 댄 주체를 확인해 달라고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신원을 검증하는 과정도 거칠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저커버그 CEO는 이날 자사 블로그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를 통해 광고주는 돈을 댄 기업들의 신원과 위치 등을 페이스북에 공개해야 한다. 페이스북이 미 의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년간 러시아 정부가 후원하는 인터넷 리서치에이전시(IRA)가 페이스북에 8만 건의 게시물을 올렸고, 약 2900만명이 이를 받아봤다.
저커버그 CEO는 “(이번 조치로) 가짜 계정을 이용해 페이지를 운영하거나, 거짓 정보나 분열을 초래하는 내용물들을 유포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페이스북은 더 이상의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선거운동을 포함해 분열적인 문제에 무게를 둔 광고들이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짜뉴스 확산의 주범이라는 비판과 함께 개인정보 유출 파문으로 창사 이래 최악의 상황을 맞은 페이스북은 사용자의 우려를 해소하고 각국의 규제를 피해 가기 위해 내부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타 앱 개발자의 정보 접근을 차단하는 한편 광고주가 데이터 업체를 통해 이용자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등 개인정보 보호 정책 강화에 나섰다. 또 올해 멕시코, 헝가리, 브라질, 미국 중간선거 등을 앞두고 가짜뉴스 대응 방안을 도구를 만들고 있다.
샌드버그 COO는 “페이스북이 안전과 보안 측면을 과소평가 했다”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잠재적인 위협을 찾아내는 것으로 대응 방식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의회의 출석 요구를 받은 저커버그 CEO는 오는 10일 미국 상원 사법위원회와 상업위원회의 합동 청문회에 출석해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의 정보 유출과 관련한 질문에 답할 예정이다.
박세원 객원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