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사일 발사 및 6차 핵실험 이후 중국과의 관계가 멀어진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원유와 각종 생필품 공급을 늘리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사법당국은 올해 봄부터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북한 나진항을 오가는 물동량이 늘어난 것에 주목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압박이 심해지자 북한이 러시아를 통해 석유 제품 및 생필품을 공급받고 있다는 게 미 당국의 판단이다.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유령회사를 통해 거래를 한 정황도 포착됐다.
최근 중국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동참하면서 ‘혈맹’으로 불리던 전통적인 북·중 관계는 금이 가고 있다. 특히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대외적인 힘을 과시하려 할 때마다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핵실험을 하면서 번번이 잔칫상을 엎었다. 북한이 지난 3일 실시한 6차 핵실험도 마찬가지다. 시 주석이 중국 푸젠성 샤먼에서 브라질·러시아·인도·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들을 초청한 ‘브릭스’(BRICS) 정상회의 첫날 핵실험을 통해 중국에 강한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러시아 기업들은 북·중 간 벌어진 틈을 기회로 삼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러시아는 북한에게 유류를 공급한 것은 물론 북한 권력층이 사용하는 사치품도 공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러시아와 북한의 무역거래가 늘자 북한 당국은 두 항구를 연결하는 정기 배편까지 개설했다. 미국이 북한을 국제적으로 고립시키려 하는 시점에 러시아가 김정은 체제에 생명줄 역할을 하고 있다고 WP는 지적했다.
동방경제포럼 참석차 러시아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났을 때도 러시아는 대북 원유금수조치를 반대했었다. 당시 문 대통령은 러시아가 원유금수조치에 동참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핵개발을 반대한다”면서도 “제재와 압박만으로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게 할 수는 없다”며 문 대통령의 요청을 거부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11일(현지시간) 통과된 대북제재안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 속에 원유 공급 전면 중단이 아니라 30%를 차단하는 수준으로 수위가 낮아졌다. 섬유와 의류 수출을 차단하면서 대중국 무역에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러시아의 개입이 확대될 경우 제재의 실효성 논란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