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 경색 국면의 지속 여부는 일단 ‘돌아선 국민의당’을 어떻게 달래느냐에 달려 있다. ‘머리 자르기’에 이어 ‘미필적 고의’ 등 발언 수위를 높인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강공을 이어갈 경우 여야 대치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국민의당 고위 관계자는 8일 “추 대표가 계속 막말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에서 협치를 논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최소한 추 대표의 진정성 있는 사과가 먼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잇따른 추 대표 발언에 격앙된 분위기다. 당 내부에선 “민주당이 국민의당을 아예 협치 파트너로 생각하지 않고 있다”는 강경론이 비등하다. 더 나아가 “추 대표가 국민의당 해체나 흡수통합까지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거두지 않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 인준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임명,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사전심사 과정 등에서 ‘전략적 협치’를 택했던 당 노선에 상당한 변화를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문재인정부는 이번 7월 임시국회 내 추경 처리를 목표로 잡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인사청문 과정은 더욱 험난해졌다. 국민의당은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에 협조했지만 “더 이상의 협치는 없다”며 등을 돌렸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임명에 반대했던 국민의당 기류 역시 더욱 강경해졌다.
정치권 일각에선 추 대표 강경 발언을 집권여당 수장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내려는 포석이라고 보고 있다. 경색 국면을 풀 수 있는 실마리는 문재인 대통령이 귀국하는 오는 10일 이후에야 마련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