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향자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1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김정은의 정신상태가 통제불능'이라고 말한 것과 관련 "경제계가 우려하는 '코리안 리스크'의 핵심이 대통령과 집권세력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양 최고위원은 "북한에 통제 불능의 사람이 있고, 핵실험을 마구 한다고 외치는 것이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말이냐"며 "북한이 도발을 했으면 대통령의 첫 일성은 국민을 안심시키는 말이어야 한다"고 했다.
양 최고위원은 "'정부는 최선을 다하니 국민과 기업은 걱정말고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하라'고 당부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대통령의 말이 경제와 국제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대통령이) 깊게 생각했는지 의문"이라며 "이뿐만 아니라 한진해운 법정관리, 서별관회의에서 보여준 우리 정부의 위기대응은 한 마디로 리스크 관리가 아니라 '리스크 확대 주체'라는 말 밖에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진해운도) 법정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해야 한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산업계에 미칠 영향을 단 5분이라도 당사자 입장에서 생각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이어 "국민들이 세금을 내는 이유는 국민 불안을 정부가 관리하라는 뜻이다. 통제불능, 책임회피, 물류대란이라는 말이 횡행할 때 국민들은 세금이 아깝다는 말을 한다는 것을 박근혜 정부가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