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등 중증호흡기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일반환자와 분리해 진료하는 ‘국민안심병원’이 도입된다. ‘병원 내 감염’을 원천 차단하고, 몸이 아픈 데도 메르스 때문에 병원 가기를 두려워하는 국민의 불안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그러나 준비도 안 됐는데 발표부터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의사협회 병원협회 및 주요 병원장과 함께 회의를 갖고 국민안심병원을 운영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안심병원은 메르스 증상과 구분이 어려운 호흡기 환자를 응급실 밖에 별도로 설치된 선별진료실에서 진료한다. 폐렴 의심환자의 경우 1인실에 입원시켜 감염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호흡기 환자가 기존 치료비용과 비슷한 수준에서 1인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안심병원에 온 메르스 의심환자는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음성 판정을 받으면 중환자실에 입원할 수 있다. 양성 확진이 나오면 음압병상이 마련된 메르스 치료병원으로 옮겨진다. 응급실에 있는 환자를 면회할 때는 방문객 명부를 작성해야 한다. 안심병원의 의료진은 폐렴환자를 진료할 때 개인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접촉자 조회 시스템을 갖춰 감염환자와의 접촉 여부를 항상 살핀다. 손세정제나 마스크 등 위생용품을 비치하고 전담 감염관리팀을 만들어야 한다.
복지부와 병원협회는 공동으로 안심병원 신청을 받는다. 11일까지 30여개 병원이 신청했다. 복지부는 12일부터 안심병원 명단을 공개할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메르스 확진자를 치료하는 ‘메르스 치료병원’과 의심환자를 진료하는 ‘노출자 진료병원’ 등과 더불어 국민안심병원이 메르스 확산을 막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메르스 치료병원, 노출자 진료병원, 안심병원 등이 모두 ‘말잔치’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병원만 지정해놓고 사후 관리나 감독에 소홀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복지부는 10일에 메르스 치료병원을 16곳을 공개하면서 음압병상이 없는 부산대병원을 명단에 넣었다. 메르스 환자 치료에는 음압병상이 필수적이다. 음압병상은 병실 안과 밖의 기압이 달라 바이러스가 병실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다. 부산시는 부산대병원 대신 동아대병원을 넣어달라고 복지부에 요청한 상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의사, 젊은데 산소호흡기라니!” 공포 증폭… 페북지기 초이스
▶“한국, 메르스도 못막으면서!” 마스크 홍콩 여대생 사건… 한중일 삼국지
▶“메르스 진정 국면 진입” 김무성 발언 시끌
▶“그래도 끝까지 환자 곁에 있을 겁니다” 삼성서울병원 의료진 감동 메시지
▶[꿀잼노잼] “소름 돋는 풍자때문에…” 김장훈, 메르스로 신곡 연기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국민안심병원 체제 어떻게 운용되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