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세가율 70% 넘는 곳 속출
처음으로 수도권에서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70%를 넘는 지역이 등장했다. 전셋값이 꺾이지 않고 고공 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탓이다. 반면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 등 8개 시·도 월세가격은 9개월 연속 하락했다.
2일 KB부동산 알리지(www.kbreasy.com)에 따르면 지난해 말 경기도 군포시(70.9%), 의왕시(70.2%), 수원시 영통구(70.5%)·장안구(70.2%) 등의 아파트 전세가율이 70%를 초과했다. 4곳은 지난 11월 말 기준으로 전세가율이 각각 69.3%, 69.5%, 69.7%, 68.6%를 기록했으나 꾸준한 전셋값 상승으로 1개월 만에 70%선을 돌파했다.
이들 지역은 소형 아파트가 밀집해 있고 집값이 비교적 싸며 집을 소유가 아닌 주거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젊은층 거주 비율이 높다는 공통분모가 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전세가가 아무리 많이 올라도 집을 선뜻 사지 않고 전세로 눌러앉으려는 사람이 늘면서 전세가율도 지속적으로 뛰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흐름이 이어진다면 조만간 서울 강북 지역에서도 전세가율이 70%를 넘는 지역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서울 성북구의 전세가율도 69.1%에 달했다.
따라서 ‘깡통주택’ 위험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박 위원은 “수도권 아파트 경매 물건의 평균 낙찰가율이 대략 80% 초반에 형성돼 있어 전세가율이 70%를 넘는다는 것은 전세 세입자에게는 전 재산이나 다름없는 전세보증금이 통째로 날아갈 위험성이 그만큼 크다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감정원은 지난달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 등 8개 시·도의 월세가격이 전월 대비 0.2% 떨어졌다고 밝혔다. 월세가격은 지난해 4월 0.1% 하락한 뒤 전세의 월세 전환 추세로 물량이 증가하고 계절적 비수기가 겹치면서 줄곧 약세를 보였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