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정부와 첫 협상 제자리… 계획된 수출선적 취소사태도
화물연대 파업 사흘째인 27일 정부와 화물연대는 첫 협상을 벌였으나 표준운임제와 운송료 인상 등 핵심쟁점에 대한 이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정부와 화물연대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약 3시간에 걸쳐 국토해양부 항공별관에서 파업 이후 첫 교섭을 진행했다. 화물연대는 ‘갑을’ 관계로 인해 개인 화물운송자들의 가격 협상력이 떨어지는 현실을 고려해 버스나 택시처럼 고정운임 형태의 표준운임제 도입과 함께 운송료 30% 인상을 주장했다.
그러나 정부는 “표준운임제는 법적 강제보다는 권고 수준이 적절하다. 운송료 결정도 시장원리에 맡겨야 한다”는 방침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는 “28일 오전 10시 화물연대와 다시 만나 협상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화물연대는 이날 저녁 정부 협상과 별개로 서울 방배동 화련회관에서 전국화물자동차운송사업연합회(KTA)와도 첫 교섭을 했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오늘 협상에선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내일 오후 3시에 연합회 측이 화주들과 논의해 가져온 운송료 인상안 등을 놓고 다시 협상을 벌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국토부는 이날 오후 6시 기준으로 부산항 등 전국 13개 물류거점의 하루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평시(7만296TEU)의 절반 수준인 3만8803TEU(6m짜리 컨테이너 단위)에 그쳤다고 밝혔다. 그러나 컨테이너가 야적장에 쌓여 있는 비율(장치율)은 43.4%로 평시(44.5%)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 아직은 수송 차질이 미미한 상황이라고 국토부는 분석했다. 운송 거부 차량은 전날 밤 10시 2349대에서 1785대로 줄어들었다.
계획된 수출화물 선적이 취소되는 사태도 벌어졌다. 부산 신항 A터미널의 경우 화물연대 조합원들의 방해로 비노조원 차량이 부두로 진입하지 못해 컨테이너 107개 분량의 수출화물 선적이 취소됐다. 부산항만공사(BPA) 조사 결과 파업이 시작된 25일부터 26일까지 제때 반출입되지 못한 부산항의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은 2만6000여개로 집계됐다. 미반입 물량이 1만2000여개, 미반출 물량이 1만4000여개로 파악됐다. 특히 원자재인 수입화물이 부산항에 묶이면서 제조업체에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외신인도 하락에 따라 선사들이 뱃머리를 다른 나라 항구로 돌리는 등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2차 피해 현실화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급한 수출입화물 수송을 위해 군 부대 차량 66대가 부산항에 긴급 투입됐다.
수도권 물류거점인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1650개로 평시의 30% 수준에 그쳤지만 전날 26.1%보다는 소폭 올랐다. 군부대 지원차량과 파업상황을 관망하며 운행을 주저하던 일부 비조합원 차량이 화물운송에 나섰기 때문이다. 인천항은 전날보다 파업 참가 차량이 122대 증가했다.
한장희 기자, 부산=윤봉학 기자 jh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