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디플레 공포]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 이번엔 위기극복 힘들어”

Է:2012-06-22 18:55
ϱ
ũ

아시아가 중국과 내수 덕택에 2008년 금융위기를 무난히 극복했으나 유럽발 위기는 내부적으로 더욱 취약한 상황이어서 이겨내는 것이 여의치 않을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 보도했다.

HSBC의 아시아 리서치 책임자 프레데릭 뉴먼은 “2008년에 비해 내부적으로 더 취약한 상황에서 경기가 둔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WSJ는 미국 주택시장 붕괴로 촉발된 2008년 금융위기의 충격이 아시아에서는 일시적이었다면서 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정부들의 재정지출 확대와 금리 인하로 그 이듬해 역내 경기가 회복되기 시작했음을 상기시켰다.

반면 올해 상황은 외부적 상황뿐 아니라 아시아 내부 문제에서 비롯되는 성격이 강하다. 특히 여신 확대와 자동차 판매 증가 및 부동산 붐으로 내수가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 온 것이 이번 위기로 제동이 걸리면서 경기에 더 큰 진폭을 주고 있다.

이 신문은 한국, 홍콩 및 중국의 내수가 아직은 상대적으로 견고할지 모르지만, 위축 조짐이 완연하다면서 특히 중국의 부동산 침체가 심각하다고 경고했다.

아시아에서 자금이 대거 빠져나가는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노무라증권에 따르면 2009년 이후 모두 7500억 달러의 자금이 아시아 신흥시장에서 빠져나갔다. 최근에는 유로존 위기 와중에 유럽 은행의 차입 청산(디레버리징)이 활발하고 아시아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외국 자금이 대거 빠져나갔다.

노무라증권에서 아시아 경제를 분석하는 로버트 수바라먼은 자본 이탈이 경제 활동을 마비시킬 수 있다면서 그러나 “사람들은 무역 감소보다 자본 이탈 충격을 덜 걱정한다”고 경고했다.

WSJ는 아시아의 위기 극복과 관련해 2008년 가장 큰 힘이 됐으나 이제는 가장 큰 부담으로 변한 것이 중국 경제에 대한 의존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중국 경제가 급격히 둔화하는 충격이 이미 가시화되고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한 예로 지난달 한국과 일본의 굴착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