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全大룰’ 진통… 마지막 회의 친이·친박 ‘최종담판’ 주목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7·4 전당대회 경선규칙 개정 문제를 놓고 당내 계파 간 의견차를 좁히지 못한 채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비대위는 27일부터 28일 새벽까지 11시간 가까운 ‘끝장 토론’을 벌였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비대위는 30일 마지막 회의에서 경선규칙 문제에 대한 최종 담판을 지을 예정이다. 비대위는 그간 논의를 통해 당권·대권 분리를 규정한 현 당헌을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친이명박계 대권 후보로 거론되는 김문수 경기지사와 정몽준 전 대표 등은 ‘대선 주자들이 당권에 도전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며 대선 경선에 나갈 주자들의 경우 대선 1년6개월 전 모든 당직에서 물러나도록 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폐지하자고 목소리를 높여 왔다. 반면 친박근혜계와 소장파 그룹은 ‘당권·대권 분리가 바로 개혁안’이라는 박 전 대표의 의견을 받아들여 현행 유지를 지지하고 있다.
비대위 논의 과정에서는 현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유지하되 대권 주자 예비후보 등록을 할 경우 상임고문 자격으로 당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현 당헌·당규를 고치는 절충안이 거론됐다. 예비후보 등록 시한을 기존 대선 240일 전에서 360일 전으로 늘림으로써 대선 후보들이 보다 일찍 당내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반면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해 당 대표 권한을 강화하는 문제는 친박계와 소장파의 의견이 엇갈려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친박계는 일단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한꺼번에 선출하는 현 집단지도체제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박 전 대표가 경선에 참여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분리 선출된 당 대표에게 권한이 집중되면 특정 계파가 주요 당직을 독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비대위 소속 중진 의원들도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면 대표 경선이 ‘1부 리그’가 되고 최고위원 경선은 ‘2부 리그’로 전락해 당 대표 권한이 너무 비대해진다고 반대하고 있다. 반면 소장파는 통합 선출했을 경우 대표와 최고위원들이 각자의 목소리를 내는 ‘봉숭아 학당’이 재현될 수 있다며 분리 선출을 주장한다.
이처럼 계파·그룹 간 이해관계 대립으로 비대위 마지막 회의에서도 의견 접근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표결로 경선규칙을 결정하는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 비대위는 당헌·당규 개정을 확정·의결한 뒤 다음달 7일 전국상임위 및 전국위원회에서 이를 추인받을 예정이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