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이스라엘 ‘1967년 국경론’ 갈등
미국과 이스라엘이 ‘1967년 국경론’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시간30분 동안 정상회담을 갖고 중동 평화협상 재개방안 등을 논의했으나 아무런 합의도 이끌어내지 못했다. 특히 전날 오바마 대통령이 중동정책 연설에서 제안한 ‘1967년 국경론’에 대해 이스라엘은 강력히 반발했다. 양국 정상은 회담이 끝난 뒤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언론회동’ 형식의 회견에서 냉랭한 분위기를 보였다. 회담에서 상당한 이견이 있었음을 시사한 대목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먼저 “분명히 표현과 언어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이는 친구 사이에 일어나는 일”이라고 냉랭했던 회담 분위기를 완화시키려 했다. 그러나 네타냐후 총리는 차갑게 일축했다. 그는 기자들 앞에서 “1967년 이전을 기억해 보라. 이스라엘 영토는 폭이 9마일로 ‘워싱턴 벨트웨이’(워싱턴을 동그랗게 둘러싼 순환도로)의 절반에 불과했다”면서 “(외국 침략을) 방어할 수 없기 때문에, 그런 경계로는 결코 돌아갈 수 없다”고 반박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특히 오바마 대통령을 쳐다보면서 “각하는 훌륭한 국민의 대통령이고, 나는 훨씬 수가 적은 국민의 지도자”라면서 “우리 민족은 거의 4000년간 그곳에 있으면서 어느 민족도 경험하지 못한 투쟁과 고통을 경험했다”고 대놓고 그의 제안을 비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외교적 결례 수준의 공개적인 반박이다. 그만큼 ‘1967년 국경론’에 대한 이스라엘의 반발이 심각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네타냐후 총리는 특히 “우리는 요르단을 따라 장기적으로 군사력을 배치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평화를 원하지만 환상에 기반을 둔 평화는 결국 무너지게 돼 있다” “우리는 테러조직 하마스의 지원을 받는 팔레스타인 정부와 협상할 수 없다”는 등 강경 발언을 잇따라 쏟아냈다. 그의 발언을 듣고 있는 오바마 대통령의 얼굴도 상당히 굳어 있었다.
미 국무부는 회담 후 공식적인 반응을 내놓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오바마 대통령의 중동정책을 전체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국경 문제에만 집착했다고 보고, 상당한 실망감과 불쾌감을 갖고 있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특히 24일 예정된 네타냐후 총리의 미 의회 연설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가 향후 양국 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사실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양국 관계는 그다지 좋지 못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문제에 대해 두 국가의 입장을 고수하면서 이스라엘에 정착촌 건설 중단을 요구했다. 그러나 네타냐후 총리는 이를 일축하고 정착촌 건설을 강행했다. 뉴욕타임스(NYT)는 67년 국경 문제로 양국 관계가 기로에 서게 됐다고 분석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