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구·문구류 납품도 대기업이 하겠다니

Է:2011-05-18 18:14
ϱ
ũ

소모성 자재를 생산·판매해온 중소기업들이 대기업 산하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업체들 때문에 어려움이 크다. 각종 공구와 문구용품 등 소모성 자재 시장에 대기업 MRO 업체가 끼어들면서 납품단가 인하, 수수료 부담 등을 강요해 중소기업들의 존립이 위태로울 지경이라는 것이다.

당초 대기업 MRO는 빌딩·건설 관리, 레저시설 운용 등 유지(M)·보수(R)·운영(O)을 담당했으나 최근 몇 년 새 소모성 자재 구입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LG 산하 서브원의 MRO 매출은 2007년 1조2045억원에서 지난해 2조5314억원으로 크게 늘어났다. 사정은 삼성 산하 아이마켓코리아, 포스코의 엔투비, SK의 스피드몰 등도 그리 다르지 않다.

대기업들이 앞에선 동반성장을 말하면서 뒤로는 딴전을 피우는 것이다. 대기업 MRO 업체들은 사업영역확대 배경으로 원가절감을 꼽지만 이해하기 어렵다. 유통단계를 늘리면 비용 증가는 피할 수 없다. 실제로 중소 납품업체들은 단가 인하를 강요당하고 수수료까지 부담하고 있다.

납품기업의 부담 증가는 남품상품의 질을 떨어뜨리고 이는 곧 대기업의 제품의 질에도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그런데도 대기업 MRO 업체의 몸집 불리기가 계속되고 있는 것은 대기업 사주들이 막대한 순익과 배당이익을 염두에 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사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에 전국소상공인단체연합회는 17일 대기업 MRO 업체들의 무차별적 시장침탈 중단을 촉구했다. 연합회는 이와 관련해 대기업 MRO 업체가 끼어들더라도 관련 계열사와 1차 협력사까지만 진출하고 적어도 2차 이하 협력업체와 정부 공공구매, 철물점 거래처 등은 소상공인의 사업영역으로 남겨둬야 한다는 내용의 사업조정안을 내놨다.

현재 국회에서도 ‘중소 소모성자재 납품업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심사 중이다. 대기업 MRO 업체가 하루가 다르게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만큼 소상공인들의 법적·제도적 보호 장치 마련을 서둘러야 하겠다. 대기업의 과도한 MRO 진출은 막아야 한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