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연대 ‘盧 정신 계승’ 목청”… 방법론 나오자 양보없는 격론

Է:2011-05-11 18:36
ϱ
ũ

“노무현 대통령이 가다가 멈춘 곳. 거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진보신당 노회찬 전 대표)

“대화와 타협을 통해 새로운 연대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이 노무현 정신이다.”(국민참여당 이재정 전 대표)

모두 ‘노무현 정신’을 얘기했지만 통합과 연대에 대한 인식과 방법론에선 차이가 났다. 노무현재단과 한국미래발전연구원이 노 전 대통령 서거 2주기를 기념해 11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 야4당은 각기 다른 야권통합을 얘기했다.

“진보개혁 진영이 정책 대안과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는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토론회는 시종일관 야권통합 방법론을 두고 격론이 오갔다. 논점은 ‘노무현 정신’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서 갈렸다. 진보정당들은 ‘노무현의 반성’에 초점을 맞췄다. 민노당 권영길 원내대표는 “재임 기간 자신이 한 정책을 스스로 재평가할 수 있는 인격을 갖춘 대통령이었다”며 “노 대통령이 퇴임 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노동정책 등을 반성했는데 민주당이 이 고민을 이어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야권연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정책연대인데, 노 전 대통령이 자신의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반성했으니 민주당에 좀 더 ‘좌클릭’하라는 요구였다.

국민참여당은 ‘노무현 정신’을 빌려 각 당의 양보를 촉구했다. 이재정 전 대표는 “김해을에서 토너먼트식 단일화를 했지만 결과는 실패였다”라며 “대화와 타협을 통해 연대의 새로운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현실론으로 맞섰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각 정당들 나름의 정체성이 있어 통합이 쉽지는 않다. 통합이 어렵다면 연합·연대해 집권해야 한다”며 “통합이건 연합연대건 승리하는 길로 가자. 정권교체를 못하면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김원철 기자 wonchu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