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에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 美·日, 극비리에 추진
미국과 일본이 극비리에 몽골에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대가는 기술 제공이다.
미국 에너지부와 일본 경제산업성은 지난해 9월부터 몽골에 원자력 관련 기술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9일 보도했다. 양국은 현재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사용후 연료 등 핵폐기물을 원전 내 임시 저장소에 보관하고 있으나 한계에 이르고 있다.
미국은 2002년 네바다주에 핵폐기물 처리장 부지를 선정했으나 해당 지역의 반발로 2009년 건설이 중단됐다. 영국과 프랑스에 사용후 연료 처리를 위탁해 왔던 일본은 2035년까지 핵폐기물 처리장 부지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 때문에 부지 선정에 난항이 예상된다.
미·일 양국은 몽골에 핵폐기물 처리장을 확보함으로써 자국 핵폐기물을 처리할 뿐만 아니라 자국 원전 건설회사의 원전 수출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양국은 국제 원전 시장에서 러시아나 프랑스와 경쟁하고 있는데, 최근 원전과 사용후 핵연료 처리를 함께 제시하는 러시아에 다소 밀리고 있다.
몽골의 우라늄 매장량은 150만t 이상으로 추정된다. 미·일 양국은 향후 우라늄 연료의 안정적 확보도 계산에 넣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핵폐기물의 수송은 통과국의 동의를 전제로 하고 있어 미국·일본·몽골의 협상이 타결돼도 중국과 러시아가 협조할지는 미지수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일본에 대한 국제사회의 시선이 곱지 않은 상황에서 핵폐기물을 후진국에 수출한다는 여론의 반발도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장지영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