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터 “김정일, 남북정상회담 제안”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28일 방북한 지미 카터(사진) 전 미국 대통령을 통해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했다. 정부는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회의적인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2박3일간의 방북 일정을 마치고 서울에 온 카터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명박 대통령과 언제든지 만나 모든 주제에 대해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며 남북 정상회담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또 미국 등 6자회담 관련국들과 핵문제를 포함해 어떤 주제에 대해서도 전제조건 없이 언제든 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카터 전 대통령은 전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오늘 오전 우리가 머무르고 있던 초대소를 떠나 공항으로 가는 길에 다시 초대소로 돌아와 달라는 요구를 받았다”면서 “김 위원장으로부터의 개인 메시지를 전달받았고 이를 한국 지도자들에게 전달해 달라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용호 북한 외무성 부상은 카터 방북단 일행에게 “아주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면서 봉투에서 종이를 꺼내 김 위원장의 친서(written message)를 읽어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그러나 천안함·연평도 사건과 관련, 민간인 사망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했지만 그에 대한 사과나 연관성을 인정하지는 않았다고 카터 전 대통령은 전했다.
카터 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메시지’를 들고 왔지만, 김 위원장과 면담이 성사되지 못하면서 ‘메시지’의 진정성과 파급력은 크게 떨어졌다는 분석이다. 카터 전 대통령도 “남북관계에서는 빠른 시일 내 돌파구가 마련될 조짐이 없다”고 인정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정부는 카터 전 대통령이 전달한 내용을 북측의 공식적인 제안으로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다. 핵문제와 관련해서 남한과 대화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부분 역시 우리가 제안한 남북비핵화회담에 대한 반응으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부 당국자는 “카터 전 대통령이 민간인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한데다 북한이 조건 없이 대화를 재개하자는 것은 새로운 얘기가 아니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정상회담 제안에 대해 “이런 식의 정상회담 제의는 받아들이기 힘들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카터 전 대통령이 요청한 이 대통령과의 면담도 성사되지 못했다.
카터 전 대통령 방북이 큰 성과 없이 끝나면서 6자회담 재개 움직임은 일단 주춤하는 모양새다. 카터 일행은 29일 오전 서울을 떠날 예정이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