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재보선] “맘 놓을 선거구 하나 없는 초박빙” 피마르는 여야
“분당을과 김해을은 초박빙이다. 강원도는 조금 앞선다.”(한나라당 안상수 대표)
“모든 선거구가 백중세다. 강원도는 상당히 근접했다.”(민주당 이낙연 사무총장)
여야 지도부는 24일 4·27 재·보궐선거 막판 판세를 각각 이렇게 밝혔다. 이른바 ‘빅3’ 선거구에 대해 ‘분당을 접전, 강원 한나라당 우세, 김해을 야권 우세’라고 분석했던 선거 초반과 확실히 달라진 분위기다. 여야 모두 ‘0대 3 전패’의 위기감을 떨쳐내지 못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당일 투표율과 선거 막판 터진 대형 돌발 변수에 따른 부동층의 향배가 선거 승패를 가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분당을=초박빙 접전지로 분류되고 있으나 여야 모두 조심스럽게 승리를 전망한다. 한나라당은 적극 투표층에서 강재섭 후보가 여전히 앞서고 있다는 점을, 민주당은 손학규 후보의 상승 추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 양측 모두 지지층 결속력 여부가 승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고 남은 선거운동 기간 지지 성향 표심을 적극 끌어내는 동시에 연고 찾기에 주력할 예정이다.
한나라당은 손 후보를 향한 대대적 이념공세 등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 정서를 한껏 자극할 예정이다. 안상수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도보수 세력을 지켜 달라”며 분당을 유권자에게 호소하는 등 보수층 결집을 시도했다. 또 손 후보가 당적을 옮긴 것을 두고 ‘배신의 정치’라고 주장하며 강 후보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반면 민주당은 40% 수준의 높은 투표율만 뒷받침된다면 승리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진보 성향의 30, 40대 젊은층의 투표율을 제고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차기 대권 주자로 꼽히는 손 후보가 강 후보에 비해 인지도가 높다는 점을 감안, 인물론으로 승부수를 띄울 예정이다. 이날 손 대표는 기자회견을 열고 “승리는 모두의 것이고 책임은 제 한 몸이 가져가겠다. 이번 선거에 제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강원=그동안 각종 여론조사에서 한나라당 엄기영 후보는 민주당 최문순 후보를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막판 돌발 변수로 판세는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선거를 닷새 앞둔 지난 22일 강릉에서 미등록 전화 홍보원들이 엄 후보 지지를 호소하는 불법 선거운동 사례가 적발된 것이 바닥 여론에 어떻게 반영될지에 여야 모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여권 지지층에 위기감을 강화시키는 효과로 나타날지, 야권 성향 유권자들의 정권심판 의지를 강화시켜줄지 예측하기 힘들다고 말한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윤희웅 조사분석실장은 “막판 터진 불법 선거운동 돌발 변수는 아직까지 지지 후보를 결정 못한 부동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나라당은 남은 기간 이번 불법 선거운동 논란이 엄 후보나 선대위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차단막을 치기로 했다. 또 소속 의원 20여명을 강원도에 대거 투입, ‘힘 있는 여당 후보론’을 내세워 우세 굳히기에 들어갈 예정이다.
민주당은 불법 선거운동 파문이 TV 토론에 대한 관심을 높여줘 상대적으로 약세였던 최 후보의 인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취약지인 영동지역 열세를 돌려놓을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등 대역전의 모멘텀으로 삼겠다는 분위기다.
◇김해을=야권 단일 후보가 월등하게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선거 막판 혼전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인물론을 내세운 한나라당 김태호 후보의 맹추격으로 국민참여당 이봉수 후보가 위협을 받으면서 격차가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다는 게 여야의 공통된 분석이다.
이에 따라 단일화 바람몰이를 앞세운 ‘노풍(盧風)’이 파괴력을 보이느냐, 아니면 경남지사를 두 차례 지낸 김 후보의 개인 기량이 이를 누르느냐가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한나라당은 “인물론이 먹히면서 턱밑까지 추격했다”며 뒤집기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기대감 속에 부산·경남 지역 조직을 총가동, 김 후보의 ‘나홀로 선거운동’을 측면 지원하고 나섰다.
야권도 투표율 제고와 야권 성향 표 결집을 통해 우위를 굳히는 데 막판 스퍼트를 내고 있다. 특임장관실의 불법 선거개입 의혹도 대대적으로 쟁점화하기로 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