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발전축 ‘도심-강남-여의도·영등포’ 3核 체제로
市, 2030 도시기본계획안 발표
광화문 일대 등 도심과 강남을 중심으로 이뤄져온 서울의 경제발전 축이 여의도·영등포 지역을 포함하는 ‘3핵(核) 거점’으로 바뀐다. 3핵 지역은 글로벌 업무환경을 갖춘 국제 업무중심지로 개발될 전망이다.
◇3핵 지역에 외국기업 유치=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을 5일 발표했다. 계획안은 올해부터 2030년까지 서울 도시계획의 큰 틀을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앞서 도시계획에서 수립됐던 ‘1도심, 5부도심(영등포, 영동, 용산, 청량리·왕십리, 상암·수색)’ 체계를 ‘3핵, 3부핵(副核)’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시는 3핵 지역에 외국 기업을 적극 유치할 방침이다. 또 용산, 청량리·왕십리, 상암·수색은 3부핵으로 정해 3핵 기능을 지원하도록 할 계획이다.
시는 또 시내에만 한정됐던 도시계획을 경기도 및 인천과 연계한 광역 대도시권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도심에서 담당했던 도시 서비스 기능은 8개의 광역 연계거점과 5개의 지역거점을 중심으로 수행하게 할 계획이다.
광역 연계거점은 망우, 창동·상계, 연신내·불광, 마곡, 대림·가리봉, 사당·남현, 문정·장지, 천호·길동 등이다. 지역거점은 미아, 신촌, 공덕, 목동, 잠실 등이며 상업·업무거점으로 조성된다.
시 관계자는 “현재 서울의 경쟁력은 외국 대도시권 경제 규모를 따라가기 어려운 만큼 경기도와 인천 등 수도권 차원에서 상호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는 2009년 1월부터 전문가 자문 등 계획안 수립 작업에 착수했으며, 시의회 의견 수렴과 공청회 등을 거쳐 오는 6월쯤 계획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이 런던과 뉴욕 등 세계 대도시와의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이번 계획안을 만들었다”며 “이 계획을 통해 서울 곳곳이 생산력과 활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지방정부가 수립한 첫 도시계획안=도시기본계획은 ‘국토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1990년 처음 수립된 이후 도시 발전 상황을 반영해 2005년까지 세 차례 보완됐다.
90년 수립된 도시계획은 강남과 강북 지역의 균형발전에 초점을 맞췄다. 97년 계획은 상암, 용산 지역에 대한 개발계획이 주요 내용이었다. 2005년 계획에는 청계천 복원 사업이 포함돼 있었다.
이번에 시가 마련한 계획안은 도시기본계획 승인 권한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양된 후 처음 수립된 것이다.
시는 설문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이전의 개발·성장 위주의 도시계획에서 ‘살기 좋은 글로벌 녹색 서울’을 만드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2009년 10∼11월 서울 시민 1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서울의 미래상’은 ‘친환경 도시’ ‘경쟁력 도시’ ‘안전한 도시’ 등의 순으로 선택됐다.
시는 이 같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3핵 개발 계획 외에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40%로 줄이고 신재생 에너지 이용률을 20% 향상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한옥과 전통문화 밀집지역을 보존,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