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중국서 원전사고 난다면… 한반도 무방비
뒤늦게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국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과 같은 사고가 일어난다면 한반도 상공의 편서풍은 우리나라로 방사성 물질을 확산시킨다. 중국에서 발원한 황사가 기류를 타고 태평양을 건너 미국 서부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원리다.
16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원전 13기를 가동하고 있다. 대부분 한국 서해안에 잇닿은 중국 동남 연안에 집중 배치돼 있다. 따라서 이들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해 방사능이 누출되면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로 곧바로 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가장 가까운 장쑤(江蘇)성 톈완 원전은 한반도로부터 500㎞ 정도 떨어져 있다.
중국 정부는 가동 중인 13기 외에 원전 23기를 건설하고 있다. 장쑤성을 비롯한 광둥(廣東)성, 저장(浙江)성 등 동남 연안 지역이다. 한반도와 잇닿은 랴오둥(遼東)반도에도 내년 가동을 목표로 4기가 건설 중이다. 계획 중인 원전은 54기이고, 140곳에 대한 타당성 검토가 진행 중이다. 2008년 대지진이 일어났던 쓰촨(四川)성 지역도 3기 이상의 원전 후보지로 검토되고 있다.
중국은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중국의 원전건설 기준은 세계 평균보다 더 높다”며 원전 계획을 예정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내 전문가들은 중국의 기술 수준에 후한 점수를 주지 않는다. 에너지경제연구원 등은 “현재 중국이 2세대 기술만 완전히 확보해 4세대 연구가 진행되는 국제 수준에 뒤떨어진다”고 평가했다. 프랑스 일본 캐나다 러시아 등 여러 나라에서 원전을 수입했기 때문에 안전하고 안정적인 원전 운영에 필수적인 표준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도 잠재적 위험 요소로 꼽힌다. 원전 분야의 인력 공급이 급증하는 건설 수요를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지난해 5월과 10월 광둥성 다야완(大亞彎) 원전에서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했지만 중국 정부는 한 달여 동안 외부에 알리지 않다가 뒤늦게 발표해 빈축을 샀다. 중국 정부는 “발전소 바깥으로 방사능이 유출되지 않은 경미한 규모의 사고”라고 강변했지만 사고 자체를 감추려 했다는 국제적 비난과 함께 원전 운영의 투명성을 의심받고 있다.
중국이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50년대부터 고비사막과 타클라마칸사막에서 강행한 핵 실험의 결과로 한국의 토양이 방사능에 오염됐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한국해양연구소(1994년)와 한국원자력기술연구원(92∼95년)이 각각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전국 각지의 토양을 조사한 결과 플루토늄 239·240이 검출됐다. 플루토늄은 자연 상태에선 우라늄 광석에 극미량 분포하는 것을 빼고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의 핵실험 이외에는 다른 생성 경로를 상정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인체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미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지만 중국의 원전 사고가 한반도의 방사능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