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예계 병폐 척결해 제2의 장자연 없도록
진위 논란을 빚은 일명 ‘장자연 편지’가 가짜인 것으로 판정됐으나 ‘장자연 사건’을 이대로 묻을 수는 없다. 2년 전 탤런트 장씨의 자살 후 불거진 성상납과 사회 유력인사 연루 의혹 등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채 수사가 종결됐기 때문이다. 당시 부실수사라는 지탄 속에 유력인사들은 면죄부를 받았다. 그런데 이번에 가짜로 판명되긴 했지만 ‘장자연 편지’와 함께 새로운 정황 증거들도 나왔다. 편지 진위와는 무관하게 경찰이 재수사 또는 보완수사를 통해서라도 진실을 파헤칠 필요가 있다.
어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장자연 편지’라고 공개된 문서의 필적이 장씨 친필이 아니라는 감정결과를 내놓았다. 이 편지들은 장씨 지인이라고 주장하는 수감자 전모씨의 감방에서 압수해 경찰이 국과수에 필적감정을 의뢰한 것이다. 최고 권위 있는 기관의 발표인 만큼 신뢰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전씨가 왜 편지를 조작했는지에 대해선 아직까지 의문부호로 남아 있다. 실제 누가 무슨 이유로 작성했는지, 그리고 제3자 개입은 없었는지 등이 명쾌히 규명돼야 하는 이유다.
경찰은 전씨의 위작이라는 입장이다. 정신질환 의심이 있는 전씨가 당시 언론에 보도된 내용을 토대로 장씨 필적을 흉내 내 작성한 것이라는 게 경찰 판단이다. 하나 이것은 경찰 추정일 뿐이다. 전말을 밝혀내야 한다. 장씨를 둘러싼 의혹도 마찬가지다. 편지 조작으로 판정났다고 해서 당초 부실수사 책임이 면해지는 건 아니다. 경찰이 재수사를 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이대로 덮어서는 안 된다. 소모적 논란을 막으려면 한점의 의혹도 없어야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제2의 장자연이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힘깨나 쓰는 인사들에 의해 여성 연예인들이 유린되는 풍토는 사라져야 한다. 접대 강요를 비롯한 연예계의 고질적 부조리와 연예기획사 갈취 등 구조적 문제에 손을 대서라도 바로잡아야 할 일이다. 경찰이 집중적인 기획수사를 벌이겠다고 한 건 그나마 다행이다. 이 같은 연예계 병폐를 뿌리 뽑아야만 장씨와 같은 억울한 사례가 재발하지 않을 것이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