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국내기업 日수출 급감 우려… 70여곳 피해 신고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가 한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무엇보다 일본의 내수경제 기반이 붕괴되면서 우리나라의 대일 수출도 타격 받을 수밖에 없다. 올해 들어 수출호조로 대일 무역적자 해소의 단초를 마련할 것이란 기대가 무너졌다.
15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2월까지 대일 수출이 56억54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8억2854만 달러)에 비해 47.7% 급증했다. 반면 수입은 같은 기간 14.6% 늘어나는 데 그쳤다. 3월 들어서도 11일까지 대일본 수출은 12억4000만 달러로 52.6% 급증한 반면 수입은 0.1% 증가에 그쳤다. 무역업계에선 이를 근거로 올해는 고질적인 대일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을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일본과의 교역에서 수출 282억 달러, 수입 643억 달러로 300억 달러가 넘는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대지진으로 상황이 급반전됐다.
벌써부터 대일 수출 중소기업들의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피해대책반에는 70여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반신욕 기기를 생산하는 J사는 일본 거래처로부터 당분간 수입을 중단하겠다는 연락을 받았다. 지진으로 온 나라가 비상상황에 놓였는데 한가하게 반신욕 기기를 구입할 사람이 없다는 것이 일본 업체의 설명이다. J사는 약 36만 달러 규모의 악성재고가 발생할 것으로 파악했다. 자동차 엔진부품을 생산하는 C사는 일본 업체에 부품을 수출하고 있었지만 지진 여파로 수출이 중단됐다. 단기적으로 100만 달러의 손해가 예상된다.
수입 업체들도 손해를 보고 있다. 식품업체 M사는 센다이 지역 업체에서 원료를 수입하려 했으나 지진으로 아예 연락이 두절됐다. 원료가 없다보니 다른 국내 거래처에 납품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플라스틱 가공업체인 D사도 평소 거래하던 일본 업체로부터 소재를 공급받지 못해 공장을 정상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지진 직후인 주말에는 피해 신고가 거의 없었지만 정상 근무가 시작된 월요일부터 피해를 입은 업체가 점점 늘고 있다”며 “사태가 장기화될수록 중소기업의 피해도 계속 늘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동일본 대지진의 파급 영향과 대응’ 보고서에서 일본 대지진이 한국경제에 위협이 될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비상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부품소재 수입액 1514억 달러 중 일본에서 수입한 금액은 전체의 25.2%인 381억 달러다. 현재 자동차와 조선, 반도체 등 대부분 업종은 일정 수준의 재고를 확보하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부품소재 수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한국 제조업 전반에 걸쳐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진으로 일본인의 관광심리가 위축되고 엔화약세도 장기화되면 한국 관광산업에도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고세욱 김도훈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