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스캔들’ 파문] 한-중, 단순 치정사건 아닌 ‘스파이’ 확인땐 마찰 불가피
외교 당국은 상하이 총영사관 스캔들이 한·중 외교 갈등으로 번질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10일 “현재까지 상하이 사건과 관련해 중국 정부의 반응은 접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도 일단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내심 하위 외교관들의 단순 치정사건으로 종결되길 기대하는 분위기다. 덩신밍(鄧新明·33)씨가 중국 정부의 스파이로 확인된다면 한·중 간 외교 마찰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양국 갈등의 소지는 충분하다는 지적이다.
정부 합동조사단이 13일부터 상하이 현지조사를 벌이게 되면 중국 공안 당국과 마찰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 합동조사단은 사건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 덩씨에 대한 면담조사를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 중국 공안 당국은 덩씨를 지난 1월부터 내사해 왔고, 최근 신병을 확보해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정부는 덩씨를 면담하기 위해 중국에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이번 스캔들이 스파이 사건으로 비화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중국 공안 당국이 덩씨 신병을 확보한 것도 ‘격리 차원’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스캔들이 폭로되는 과정에서 중국 최고 권력자들의 이름이 거론되는 점도 중국 측으로서는 껄끄러운 부분이다. 이미 덩씨가 중국 권력층 자제를 일컫는 태자당(太子黨) 소속이며, 차기 지도자인 시진핑(習近平) 국가 부주석의 양녀, 덩샤오핑(鄧小平)의 손녀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권위주의 국가에서 최고 권력자의 신상은 극도로 민감한 소재다.
아울러 이번 스캔들을 통해 탈북자와 국군포로 국내 송환이 덩씨에 의해 이뤄졌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중국 정부는 혈맹인 북한 입장을 고려해 탈북자와 국군포로 처리를 신중하게 접근해 왔다. 따라서 향후 송환 작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 한·중 관계를 불편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정부는 아직 특별한 반응을 내놓고 있지 않지만 매체들은 불쾌감을 표하고 있다. 이런 매체들이 중국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사실상 당국의 반응으로 봐도 무방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남북연구센터의 뤼차오(呂超) 주임을 인용, “한국이 간첩 사건으로 몰고 가는 것은 중국에 대한 모욕”이라고 경고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