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경남도지사, ‘동남권 특별자치도’ 논란
김두관 경남도지사가 부산·울산·경남(부·울·경)을 통합한 ‘동남권 특별자치도’ 수립을 전격 제안했다.
이번 제안은 동남권 신공항 유치 문제로 부산지역과 여타 영남지역의 민심이 극명하게 대립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갈등해소의 열쇠가 될지, 아니면 새로운 갈등의 불씨가 될지 주목된다.
김 지사는 8일 경남 창원 도청회의실에서 열린 ‘동남권 화합과 공동번영을 위한 발전계획 보고회’에서 “동남권의 위기를 새로운 발전의 기회로 승화시키기 위해 부산·울산·경남의 행정·경제·생활권을 통합해 새로운 자치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역사·문화적으로 같은 뿌리를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광역상수도와 신공항 유치 등 각종 현안에서 소모적 경쟁이 비일비재하다”며 “동남권이 연대해 발전계획을 추진하면 모두가 잘 사는 ‘신(新)동남권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동남권 연대를 위해 3개 시·도를 통합한 특별자치도를 구성, 국방과 외교를 제외한 자치입법권과 자치경찰권을 확보한 지방정부 구성을 제시했다. 또 기초자치단체장을 지사가 임명하는 제주특별자치도와 달리 민선단체장 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정부의 권한을 이양받는 방식을 제안했다.
경남도는 5월중 ‘부·울·경 경제·시민사회통합위원회’를 구성해 공동번영을 위한 정책연구에 나설 방침이다.
김 지사의 느닷없는 제안에 울산은 반발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동남권 특별자치도 설치는 2009년 1월 김태호 전 경남지사가 동남권 통합 추진협의체 구성 제안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며 “울산은 당시에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이번 제안 역시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그동안 수차례 열렸던 부·울·경 시·도지사 회동에서 한 번도 거론되지 않은 사안을 사전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은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덧붙였다.
울산에서는 석유화학단지와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등 산업기반이 튼튼해 구태여 경제권·생활권이 다른 부산 및 경남과 공조할 필요가 없다는 여론이 비등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는 화합과 공동번영 모색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찬성하고 있으나 특별자치도 설립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검토해야할 사안이라며 한 발 물러섰다.
이영활 부산시 정책기획실장은 “이미 부산과 경남, 울산은 광역권 발전을 위해 시·도 단체장 협의회를 정기적으로 갖고 있다”며 “하지만 특별자치도 설립은 제반 여건을 감안해 사전에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창원·부산·울산=이영재 윤봉학 조원일 기자 yj311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