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오염 지하수를 타당성 조사 없이 ‘천연암반수’ 공급 발표… 동네 북 된 ‘동네우물사업’
대구시가 충분한 타당성 조사 없이 ‘동네 우물 개발’ 사업에 수백억원을 쏟아 붇기로 해 물의를 빚고 있다.
6일 대구시와 대구경북녹색연합 등에 따르면 수질오염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미네랄이 풍부한 천연암반수로, 상수원 오염 등 유사시에는 비상급수시설로 공급한다는 동네우물 개발사업이 ‘수질오염’으로 발목이 잡혔다.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최근 2015년까지 7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대구지역 곳곳에 300개의 지하수공을 뚫어 동네우물로 활용하는 이른바 ‘동네우물 개발사업’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1단계로 7월까지 60억원을 들여 1곳당 하루 50t을 채수할 수 있는 29개의 동네우물을 도심공원과 병원 등에 만들기로 했다.
그러나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23개 지역에 관정을 굴착했지만 자체 수질검사 결과 기준 48개 항목 모두 적합판정을 받은 곳은 두류공원 야외음악당 1곳 뿐이었다..
수질검사 결과 19곳에서 일반세균이 먹는 샘물 기준 이상으로 검출됐다. 11곳에선 총 대장균 군이 나오는 등 먹는 물 수질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 사업의 적절성에 대한 논란이 가열됐다.
이에 상수도사업본부측은 3월부터 지하수 수리 특성과 지하수 영향조사,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용역을 실시하겠다는 보완책을 내놨다.
사업 시작 전에 했어야 할 타당성 조사가 뒤늦게 이뤄진 ‘앞뒤가 바뀐’ 졸속이라는 방증이다.
상수도사업본부는 2009년 1월 낙동강 다이옥산 오염 사고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대체 식수원으로 지하수를 활용하는 사업을 지난해 6월부터 추진해왔다.
시민들은 “실효성 측면에서 보더라도 사업 자체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서 “공직자들이 탁상공론식으로 시민의 소중한 재산인 예산을 낭비하고 있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대구경북녹색연합은 성명을 내고 시의 동네우물 사업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녹색연합은 “한국수자원공사가 2004년 대구지역의 230곳에 대한 지하수 수질조사를 실시한 결과 92.6%인 213곳이 먹는 물 수질기준에 부적한 판정이 났고 특히 생활용수 기준에도 미치지 못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이 전체의 80.4%인 185곳인데도 시가 천연암반수 개발 사업을 한 것은 시민들을 속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