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에너지 효율 높이고 아껴 쓰는 수밖에
물가가 천정부지로 뛰고 있다. 2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5%로 지난 1월 4.1%에 이어 두 달째 4%대다. 중동사태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과 이상한파에 따른 신선식품 가격 오름세가 주요인이다. 사실상 올 경제운용에 빨간불이 켜졌다.
국제 농산물 가격은 대응에 어려움이 크지만 신선식품은 기온이 오르면 자연스레 공급이 늘어 가격도 차츰 안정될 터다. 식량안보 차원에서 해외개발 확대, 국내 생산기반 확충 등 안정적인 농산물 수급대책이 요청된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국제유가다.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리비아 사태가 조만간 수습된다고 해도 산유국들이 몰려 있는 중동에 한 번 불기 시작한 민주화 바람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고 보면 유가 불안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필요 에너지의 거의 전량을 수입하는 우리로서는 특단의 대책이 요청되는 시점이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지만 한국의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1위, 1인당 석유 소비량은 세계 5위다. 에너지 소비는 경제활동과 비례하는 것이지만 세계 50위의 인구규모나 세계 13위의 경제규모를 감안하면 우리의 에너지 낭비는 심각한 수준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 에너지 사용량 중 공공부문 비중은 3%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산업, 수송부문 등을 포함한 민간부문이 차지한다. 에너지 절약에 관한 한 민간 차원의 협력과 각성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그와 더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일도 시급하다.
정부가 2일 물가안정대책을 논의하는 관계부처장관 회의에서 “기업과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배경이 바로 그것이다. 에너지 효율 제고는 기술적인 제약 때문에 중장기 과제가 되겠으나 에너지 절약은 지금 바로 가능한 문제다.
이제까지 그랬던 것처럼 국제유가가 급등할 때만 잠깐 에너지 효율 제고 및 절약을 화제로 삼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적당히 잊혀지는 식의 대응은 안 된다. 지속적인 에너지 효율 강화와 절약의 생활화를 위해 먼저 정부가 분명한 기준을 잡고 범사회적으로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