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사태 강력·신속히 대처” 반기문 총장·오바마 긴급회동 합의… 유엔·美 본격개입 신호탄

Է:2011-03-01 18:13
ϱ
ũ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8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30여분 동안 긴급 회동했다. 리비아와 코트디부아르 사태 등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정정(政情) 불안이 현안이었다.

두 사람의 회동은 미국과 국제사회가 리비아 사태 등에 본격 개입하겠다는 신호다. 또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민주화 시위 사태가 국제적으로 평화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 대해 유엔과 미국이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나타낸 것이다.

수전 라이스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회동 브리핑에서 “무엇이 옳은지, 무엇이 도덕적인지는 매우 명백하다”면서 “리비아 상황에는 강하고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두 지도자의 생각이 일치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라이스 대사는 또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검토하고 있는 리비아 상공 비행금지구역 설정 문제에 대해 “현재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등과 협의하고 있으며, 매우 심각하게 검토해야 할 방안 중 하나”라고 말해 조만간 이뤄질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회동에 배석했던 유엔 관계자는 반 총장과 오바마 대통령이 리비아와 코트디부아르 등에서 벌어지고 있는 민간인 사망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고, 국제사회가 공조해 평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자는 데 의견일치를 봤다고 전했다.

두 사람은 또 카다피가 퇴진할 경우 이후 리비아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 26일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와 가족·측근들의 자산동결, 해외여행금지, 카다피의 국제형사재판소(ICC) 회부, 카다피 정권에 대한 전면적인 무기금수 조치 등을 골자로 한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었다. 안보리 결정은 미국이나 국제사회가 카다피 정권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명분을 마련해 준 것이다.

두 사람의 회동에서는 리비아 사태와 함께 민간인 사망이 발생하고 있는 코트디부아르 사태도 논의됐다. 반 총장은 회동이 끝난 뒤 워싱턴 홀로코스트 박물관을 방문한 자리에서 “코트디부아르 대선의 승자는 알라산 와타라이며, 패배한 그바그보는 평화와 안정을 위해 권력을 넘겨야 한다”고 말했다.

라이스 대사도 “두 지도자가 코트디부아르에서의 폭력 증가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고, 합법적인 대통령 당선자 와타라가 통치를 책임지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밝혔다”고 말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