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계가 통일 논의 제3의 당사자로 나서길” 기장 사회선교정책협의회
“남북관계, 생태환경을 비롯해서 사회 거의 모든 부문에 빨간불이 켜져 있습니다. 우리가 어디에 선교적 집중을 해야 할지 씨름하고 기도해 봅시다.”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 총회의 ‘2011년 사회선교정책협의회’가 27일 오후 서울 수유동 아카데미하우스 내 총회회관에서 열렸다. 올해 어느 사회적 이슈에 집중적으로 목소리를 낼 것인가를 논의하는 자리였는데 극도로 악화된 남북관계에 대한 우려와 선교적 제안이 주를 이뤘다.
기장 총회의 관심은 토론에 앞선 강연들의 주제에서 쉽게 엿보였다. 첫 강연은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의 ‘한반도 평화, 통일’이었다. 백 교수는 “이제 분단체제는 1970∼80년대처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분석한 뒤 “지난해 3월 천안함 침몰 사건이 남북 관계를 적대국면으로 전환시킨 계기인 만큼 그 진실을 규명하지 않고서는 이후 연평도 포격 등 사건들을 제대로 분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과제에 종교계와 시민사회가 정치논리를 넘어서는 ‘제3의 당사자’로 나서 줄 것을 백 교수는 당부했다.
이어서 박동천 전북대 정치학과 교수와 손석춘 복지국가와진보대통합시민회의 상임공동대표는 2012년 대통령 선거를 앞둔 올해의 정치상황을 분석했다. 박 교수는 “인권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는 관료, 법조, 군부, 재벌, 언론으로 엮인 강고한 기득권 동맹을 넘어서는 연대세력이 필요하다”고 했으며 손 대표는 “소외되고 고통 받는 사람들과 늘 함께하며 대화했던 예수의 정신이 있어야 비정규직 문제, 경제문제로 인한 자살 증가 등 문제에 답을 내놓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강연에 이어 목회자들은 구체적인 선교정책 제안들을 내놨다. 총회 평화통일위원장 한기양 목사는 “대북 인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북한 동포의 생존을 지키는 일’로서 사회 각계에 설득해 나가야 할 책임이 교회에 있다”며 “교회 예산 1%를 통일 대비 기금으로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평화공동체운동본부 나핵집 목사는 “통일을 위한 비용이 크다고 하지만 분단 상황에서 드는 비용이 더 크고, 통일될 경우의 편익은 더 크다는 점을 사회에 인식시키는 데 교회가 나서자”고 제안했다. 한반도 평화·통일·개발협력을 위한 에큐메니컬포럼 사무국장 채혜원 목사는 “해외 파트너교회들이 자국 정부에 남북한 평화통일에 대한 관심 고취와 대북 인도적 지원을 촉구해 준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황세원 기자 hwsw@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