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경주회의 개막] G7 따로 만나 ‘위안화 절상’ 압박 공동전선
“포커에도 쥐고 있는 패를 대놓고 보여주는 사람과 가리고 하는 사람이 있다. 지금 상황이 딱 그렇다.”
22일 개막한 경주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 참석한 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이다. 자국 수출경쟁력 방어를 위해 화폐가치를 경쟁적으로 끌어내렸던 각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 간 보이지 않는 신경전을 빗댄 표현이었다. 글로벌 금융안전망 등 산적한 의제 조율을 앞둔 각국 대표단은 만남 첫날부터 환율 문제를 놓고 진검승부를 펼쳤다.
릐환율 해법 놓고 회의장 긴장 고조=환율 논의 주도권 쟁탈전은 개회행사인 오후 3시 대표단 환영식 이전부터 달아올랐다. 의장인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개막 직후 환율 관련 논의 일정을 이날 몰아서 진행하자는 의사진행 발언을 했을 정도다. 때문에 논의 첫 순서인 ‘세계경제 동향 및 전망’에 당초 23일로 예정된 ‘강하고 지속가능한 균형성장을 위한 협력체계’ 두 의제가 합쳐졌다. 환율 문제를 밀도 있게 논의하자는 취지와 함께 이틀간의 논의 일정이 환율 갈등으로 얼룩져선 안 된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무역흑자국과 적자국간 견해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등 선진 7개국 재무장관들은 공식 일정에 앞서 이날 오전 1시간 정도 별도로 모임을 통해 위안화 절상 압력 공조 체계를 구축해 개도국 진영의 반발을 샀다.
미국은 이날 환율 갈등 해소방안으로 경상수지 흑자 및 적자한도를 설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환율조작으로 인한 무역불균형 해소 차원에서 무역적자국과 흑자국이 자발적으로 무역수지의 한도를 설정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재무상이 “비현실적인 방안”이라고 지적하는 등 실현가능성은 낮다는 게 정부 관계자의 평가다. 그럼에도 미국이 이 카드를 제시한 배경에는 실제 도입 가능성보다는 대(對) 중국 압박용 카드로 사용하기 위한 의도가 깔려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노다 재무상도 “환율은 자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여건)을 반영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혀 중국 위안화 절상 압박에 동참했다.
반면 중국은 특정 국가의 통화 절상문제가 테이블에 오르는 것에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은 이날 오전 저우샤오찬(周小川) 인민은행장에 대한 윤 장관의 면담 요청에 “일정상 힘들다”며 환율 관련 양자간 접촉을 우회적으로 거부하기도 했다.
릐“주요의제 타결은 정상 간 논의 몫으로”=윤 장관은 이날 짐 플래허티 캐나다 재무장관,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부 장관 등과의 연쇄 회동을 통해 환율 해법을 모색했다. 오후 7시 안압지에서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배석자 없이 허심탄회한 논의에 나섰지만 위안화 절상 등 명시적인 합의를 이끌어 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의장국으로 환율 등 주요의제 해결에 낙관적이라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다만 각국 간 입장차가 첨예해 타협점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환율 관련 논의시한을 이날로 정하긴 했지만 23일까지 양자간 접촉 가능성은 열려 있다. 실제로 회의장 안팎에선 미국과 중국 간 접촉설이 끊이지 않았다.
우리 정부는 다음 달 정상회의를 앞둔 마지막 실무급 회의인 이번 회의를 통해 국제통화기금(IMF) 이사국 자리 및 지분 조정을 위한 논의와 더불어 코리아 이니셔티브(한국이 주도하는 의제)의 핵심인 글로벌 금융안전망의 진척상황도 최종 점검할 예정이다.
이 관계자는 “재무장관 간 합의 도출이 어려운 부분은 다음 달 정상들이 직접 만나 담판을 짓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