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 3인의 추석] “막 정착한 새터민 고민 상담 고맙다는 문자 받았을때 행복”

Է:2010-09-19 21:37
ϱ
ũ
[새터민 3인의 추석] “막 정착한 새터민 고민 상담 고맙다는 문자 받았을때 행복”

마순희(59·여)씨에게는 자신을 ‘엄마’라 부르는 새터민 아들, 딸이 많다. 마씨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보관함에는 마씨에게 안부를 묻고 추석 인사를 보내는 새터민들의 글이 가득했다.

1998년 북한을 탈출해 2003년 한국에 온 마씨는 지난 4년간 막 한국에 정착한 새터민들과 추석을 함께 보냈다. 마씨는 2007년 8월부터 새터민 지원단체인 새조위(새롭고 하나 된 조국을 위한 모임)가 국립의료원에 설치한 새터민 상담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피가 섞이지 않은 새터민 자녀들을 많이 만났지만 마씨에게는 민영석(가명·38)씨가 각별하다. 2008년 처음 만났을 때 민씨는 다른 새터민을 때려 경찰에 입건된 상태였다. 민씨는 병원에 입원했던 피해자의 치료비 500여만원을 지불하지 못해 국가에서 제공한 임대주택이 날아갈 형편이었다.

마씨는 민씨를 외면할 수 없었다. 하지만 백방으로 알아봐도 범죄자를 돕겠다는 단체를 찾기 어려웠다. 결국 국립의료원에서 일일찻집을 열고 개인 기부자를 찾아 민씨를 구제했다.

하지만 민씨는 지난해 가을 또 다른 폭행사건에 연루돼 교도소에 가게 됐다. 지난해 추석을 앞두고 교도소에서 전화가 왔다. 마씨는 “엄마, 죄송해요. 잘 살았어야 하는데…”라고 흐느끼던 민씨의 목소리를 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이번 추석에는 지난해 말 출소한 민씨를 집으로 초대하기로 했다.

마씨는 새터민들이 가장 외로움을 느끼는 시기가 추석과 한식이라고 했다.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어 가족이 한 자리에 모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탈북한 지 얼마 안 된 새터민들은 한국 체제에 적응하기 어려워 이질감이 큰 데다 가족 중 일부가 북한에 남아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추석이면 헤어진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더 많다는 것이다.

마씨는 19일 “명절 때 직접 찾아와 잠시라도 얘기를 나눠주는 것이 새터민에게 가장 큰 선물”이라며 “가까운 새터민 지원센터(하나센터)를 방문하면 근처에 홀로 지내는 새터민을 방문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