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챗GPT를 개발한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를 만나 국내 기업과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올트먼 대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Stargate) 프로젝트’ 협력을 위해 삼성전자와 SK그룹과 손을 맞잡았다. 민관이 힘을 합쳐 오픈AI와 함께 메모리 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 클라우드까지 전방위적인 AI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전략적 시너지를 발휘한다는 전략이다.
이 대통령은 1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올트먼 대표를 접견하고 AI 기술 발전이 경제·산업구조에 미치는 파급효과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이어갔다. 접견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함께했다.
이 대통령은 올트먼 대표에게 “제가 챗GPT 유료 구독자”라며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AI 테스트베드(실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정부와 오픈AI 간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AI 생태계가 크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올트먼 대표는 “한국 없이는 AI를 발전시킬 수 없다”며 “한국과 함께 성공 스토리를 쓰고 싶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AI 산업 분야에 한해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금산분리 등 규제의 일부 완화를 검토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오픈AI는 삼성·SK그룹과의 협력 방안도 논의했다. 두 기업이 오픈AI와 체결한 투자 의향서(LOI)의 핵심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핵심 파트너로 합류한다는 것이다. 스타게이트는 오픈AI가 글로벌 기술·투자 기업들과 함께 슈퍼컴퓨터·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를 건설하는 초대형 사업이다.
삼성전자는 우선 오픈AI가 해당 프로젝트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메모리 솔루션 수급을 지원한다. 오픈AI는 웨이퍼 기준 월 90만장의 고성능 D램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계는 오픈AI가 삼성전자를 전략적 파트너로 선택한 이유로 공급 역량에 주목한다. 삼성전자의 올해 기준 D램 웨이퍼 생산량은 769만5000장에 달한다.
이와 함께 삼성SDS는 오픈AI와 함께 AI 데이터센터 공동 개발 및 기업용 AI 서비스 제공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삼성SDS는 첨단 데이터센터 기술을 기반으로 오픈AI의 ‘스타게이트 AI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을 지원하기로 했다. 삼성물산과 삼성중공업도 각각 해상 데이터센터, 부유식 발전 설비, 관제 센터 개발 기술을 개발해 오픈AI와 협력할 예정이다. 삼성 관계자는 “메모리 기술력과 글로벌 반도체 업계 1위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AI 선도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K그룹도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를 주력으로 내세워 오픈AI와 메모리 공급 LOI를 맺었다. D램 글로벌 매출 1위를 차지한 SK하이닉스의 AI 전용 메모리반도체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라는 게 SK 측 설명이다.
SK하이닉스도 D램 웨이퍼 기준 월 최대 90만장 규모의 HBM 공급 요청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오픈AI의 HBM 공급 요청 규모는 웨이퍼 기준 전 세계 HBM 생산 능력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SK텔레콤도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대열에 합류한다.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운영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서남권에 오픈AI 전용 AI 데이터센터를 공동 구축, ‘한국형 스타게이트’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최 회장은 “메모리 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까지 아우르는 SK의 통합 AI 인프라 역량을 이번 파트너십에 집중해 글로벌 AI인프라 혁신과 대한민국의 국가 AI 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훈 윤예솔 기자 germa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