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군 공항 이전이 정부 승인에 따라 제 궤도에 접어들었지만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 사업은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전남 무안군이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는 시점에서 탄핵 정국과 제주항공 참사가 겹쳐 논의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23일 광주시와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대구시가 신청한 ‘군 공항 이전 사업계획’이 지난 21일 국방부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 대구 군 공항(K-2) 이전과 TK 신공항 건설사업이 지난해 말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이어 마지막 관문을 통과했다. 대구시는 이를 근거로 보상절차 진행을 위한 ‘신공항 예정지역 내 지장물 기본조사 용역’과 ‘신공항 건설 환경영향평가’에 착수하는 등 2030년까지 군 공항 이전과 신공항 개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반면 광주 군·민간 공항 통합이전은 첩첩산중이다. 군 공항 이전 첫걸음으로 인식되던 정부 관계기관 회의 등이 국정 혼란 장기화로 늦춰지면서 실타래가 갈수록 꼬이고 있다.
광주시는 오는 2월 초 국방부 주관 ‘광주 군 공항 이전 관계기관 협의회’에서 해묵은 관련 현안을 구체적으로 매듭짓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지난 19일 서울서부지방법원 폭동 사태가 벌어지면서 회의 자체가 무기한 연기됐다. 지난해 12월 13일 개최 예정이던 국무조정실 주관 범정부 협의체 실무회의도 12·3 비상계엄 선포 여파로 무산됐다. 여기에 지난해 12월 29일 179명의 소중한 인명을 앗아간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발생으로 더불어민주당 광주전남상생발전TF도 유명무실해졌다.
광주 군·민간 공항 이전은 광주시와 무안군, 전남도 간의 협의 난항으로 수년째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2018년 8월 무안공항 활성화 협약을 통해 광주 군·민간 공항의 전남지역 통합이전에 합의했으나 유력한 후보지로 떠오른 무안군의 반대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해왔다. 당사자인 광주시장과 전남지사, 무안군수가 우여곡절 끝에 지난해 7월 담판을 짓기 위한 ‘3자 회동’을 가졌으나 팽팽한 의견 대립 상태로 끝났다.
광주시 군공항이전추진단 관계자는 “범정부 협의체가 군 공항 이전 예비후보지 선정을 주도해줄 것으로 내다봤으나 대통령 탄핵과 무안공항 참사로 거론조차 어려운 상황이 됐다”며 “최우선 과제로 떠오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 규명이 이뤄진 이후 전남도, 무안군과 다시 머리를 맞대고 논의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