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 두 건의 1심 선고로 냉탕과 온탕을 오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먹사니즘’(먹고 사는 문제) 행보의 폭을 넓히며 정부 정책 비판에 나섰다. 지난 25일 위증교사 사건 1심 무죄 선고의 기세를 타고 공세 발언 수위도 높아진 모습이다.
이 대표는 27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쌀값 20만원을 지키겠다는 것이 윤석열정부 공약이었는데 스스로 한 말을 함부로 뒤집고 있다”며 “집단망각증에 걸린 건지 이런 게 한두 번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이 시도 때도 없이 거부권을 행사하다 보니 장관도 자기 마음대로 거부권을 운운하는 것 같다. 참 희한한 일”이라고 말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양곡관리법 개정안 등 농업 4법을 두고 ‘농망(농업을 망치는) 4법’으로 칭하며 공개 반대한 것을 비판한 것이다. 민주당은 28일 국회 본회의에서 농업 4법을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상법 개정 문제를 두고도 날 선 반응을 내놨다. 이 대표는 “정부·여당의 주요 인사들이 거의 다 상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했는데 민주당이 나서니까 다 반대로 돌아섰다”며 “왜 과거에는 설레발을 치고 생색을 냈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식시장이 망가지는 건 다 정부 탓이 명백하다”고도 했다.
이 대표는 이어 서울 성동구의 한 고등학교를 방문한 자리에서도 맹공을 이어갔다. 그는 무상교육 관련 현장 간담회에서 “국가경영이 원칙을 잃어버린 상황”이라며 “초부자 감세를 통해 국가재정이 열악해지니 온갖 영역에서 예산이 삭감되고 있는데, 교육지원 예산이 대규모 삭감되는 건 참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내년도 고교 무상교육의 정부 부담분 일몰을 앞두고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특례’ 연장을 촉구한 것이다. 민주당은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위에서 특례 규정의 효력을 2027년 말까지 연장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 대표의 이런 행보는 민생 현안 해결의 주도권을 쥐고 가겠다는 의지 표현이자, 위증교사 1심 무죄로 한고비를 넘긴 만큼 대권 주자로서의 수권 능력을 다시 부각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읽힌다. 당분간 지지율 제고에 집중할 거란 관측도 나온다.
이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재판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관계없이 민생 경제, 외교안보 중심의 일정과 메시지 기조를 그대로 가져가는 게 애초의 계획이었다”고 설명했다. 한 친명계 의원은 “가랑비에 결국 옷이 젖는 것처럼 국민 마음에도 민생 지도자로서 이재명의 모습이 각인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