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29번 및 30번 확진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보건 당국의 방역 대책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중국 등으로부터 바이러스 유입을 막고 확진자의 동선을 추적하던 게 기존 방식이라면, 첫 지역사회 감염 추정 환자가 발생한 만큼 이제는 지역 내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감염자를 빨리 가려내는 ‘선제적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정부 대응에 대해 “지금까지는 선방했지만 정부의 방역망은 이제부터 본격 시험대에 올랐다”고 전망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전날 확진된 29번 환자(82세 남성)와 30번 환자(68세 여성)의 감염경로와 발병 후 동선을 아직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두 환자는 이전 확진자들과 달리 최근 해외를 방문하거나 확진자와 접촉한 적이 없어 정부의 ‘방역망 밖’ 환자다.
29번 환자는 가슴 통증을 느껴 지난 5일부터 서울 종로구 창신동 병원과 의원, 약국을 12차례 방문했다. 15일 고려대안암병원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29번 환자의 아내인 30번 환자는 자가격리 중 17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보건 당국이 이들의 감염경로를 끝내 찾지 못할 경우 국내에서 정체 모를 감염원을 통해 2차 감염이 발생한 첫 사례가 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규정한 ‘지역사회 감염’이다. 1차 감염원이 다른 어딘가에서 또 다른 감염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 위험하다. 이재갑 한림의대 강남성심병원 교수는 “지역사회 내에서 역학적 연관성이 없는 환자가 산발적으로 나올 수 있는, 폭탄이 언제 터질지 모르는 상황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은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 위험에 더 긴장하고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하는 시기”라며 “이전부터 발생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를 두고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취약층인 노인 입원 환자가 많은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중국 방문력이 있는 종사자·간병인을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가장 어려운 과제는 감염 의심자를 선별하는 기준과 장소를 어떻게 마련할지에 있다. 현재는 중국 등 오염지역 방문자 또는 확진자와 접촉이 의심되는 사람들이 선별진료소에서 진단을 받은 뒤 격리된다. 최원석 고려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감염자를 역학적 연결고리로 파악할 수 없으니 정작 검사가 필요한 사람은 놓치고 다른 호흡기 질환자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병원으로 몰릴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감염 의심자 기준 변경과 병원 역할분담 체계를 바꾸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 본부장은 “조만간 새로운 사례정의를 내놓겠다”고 했다.
정부는 코로나19 감염자가 대거 발생한 일본 크루즈선에 타고 있는 우리 국민 일부를 이르면 18일 군용기를 통해 국내로 데려올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요코하마항에 정박 중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탑승한 한국인 14명 중 일부를 군 수송기(CN235)에 태워 국내로 이송하는 방안을 일본 측과 협의 중이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