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등산을 좋아한다. 지리산 자락에서 태어나 자라서 그런지 바다보다 산을 더 좋아한다. 산에만 가면 등이 가볍고 모든 짐을 내려놓은 듯 홀가분하다. 아직까지 골프를 못 쳐서 그런지 등산만큼 좋은 운동을 발견하지 못했다. 산은 나의 안식처이고 ‘주님의 품’을 떠올리게 한다.
오랜만에 산에 갔을 때 이런 시를 쓴 적이 있다. ‘죄송합니다/ 너무도 오랜만에 와서/ 마음이 때 묻다 보니/ 몸도 함께 때에 묻혀/ 이리도 오랜만에 왔습니다/ 부끄럽습니다… 처음으로 돌아가고 싶습니다/ 처음 사랑/ 그 초심을 회복하여/ 다시 당신을 사랑하고 싶습니다.’
다사카 히로시가 쓴 책 ‘슈퍼제너럴리스트’에는 등산의 전략사고와 파도타기의 전략사고가 나온다. 과거는 등산의 전략사고 시대였다. 지도를 펼쳐놓고 고정된 목표를 향해 오르는 것이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한번 정한 루트를 통해 정상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다. 등산하는 사람은 작은 산이건, 큰 산이건 정상을 밟아야 속이 후련하다.
그런 의미에서 히말라야 14좌를 완등한 산악인 엄홍길 대장은 대단한 분이다. 그러나 히말라야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희생을 당했는가. 등산의 전략사고는 위험할 수 있다. 가는 길이 바른길인지, 무리한 길인지도 모르고 무조건 돌진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급변하는 시대이기에 파도타기의 전략사고가 필요하다. 가는 길이 옳은 길인지, 잘못된 길인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시대 흐름에 따라 루트를 새롭게 설정하는 전략적 반사신경이 필요하다. 내가 가는 길이 너무 무리한 루트는 아닌지, 돌아오지 못할 콰이어강을 건너는 것은 아닌지 순간순간 파도를 타면서 돌아봐야 한다.
지난 5일 한국교회총연합 대표회장들과 함께 부활절 퍼레이드 행사를 주제로 기자회견을 했다. 어느 기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는데 계속 강행할 것이냐”고 질문했다. 그때 나는 “그리스도인은 전염병을 너무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질병보다 무서운 게 우리의 불안과 두려움이다. 그때쯤 되면 수그러들 것이라 본다”라고 했다. 그랬더니 어떤 기자가 “코로나19가 확전되는 중에도 소 목사가 행사를 밀어붙이겠다”고 말한 것처럼 기사를 썼다.
사실 그런 주장은 아니었다. 코로나19가 심각하게 확전이 되면 방향을 돌려야 한다. 확전되는데도 밀어붙이는 것은 등산적 전략사고다. 파도타기 전략사고는 그렇지 않다. 목표를 미루거나 루트를 다른 방향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전략적 반사 신경이 너무 발달하면 지나치게 가변적 모습을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불확실성으로 치닫는 우리 시대와 사회는 파도타기의 전략사고가 필요하다.
우리 사회는 지나치게 양극화돼 초갈등 사회를 이루고 있다. 파도타기의 전략사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시대 흐름을 통찰하는 지성과 감성의 반사 신경이 적절하게 작동돼야 한다. 교계마저 상식을 벗어난 극단적 외침과 균형을 잃은 정파적 스탠스를 보이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다.
지금 우리가 가는 길이 옳은 길인지 돌아보고 비록 옳은 면이 있다 해도 극단적인 면이 있다면 지성과 감성의 반사 신경으로 적절하게 파도타기를 해야 한다. 완급조절도 하고 적절하게 방향전환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산사태, 혹은 쓰나미 같은 위험을 맞을 수 있다. 좌우 진영에선 각자의 주장을 돌이켜보거나 자제해야 한다. 교계도 상식을 벗어난 극단적 외침과 균형을 잃은 정파적 스탠스가 있다면 돌아봐야 한다.
소강석 목사 (새에덴교회)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