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 현장의 성교육과 정부의 성평등 정책이 편향되고 왜곡됐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바른인권여성연합(상임대표 이봉화)과 자유한국당 윤종필 의원실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성교육이 미쳤다- 젠더정책의 실체’ 포럼을 열었다.
포럼에선 ‘젠더 이데올로기’에 의해 편향되고 왜곡된 성교육이 이뤄지는 학교 현장의 실태와 ‘젠더이론’과 접목된 정부 정책의 문제점을 집중 분석했다.
젠더 이데올로기란 남자와 여자로 구분된 ‘양성’을 부정하고 가정에서 부모가 갖는 위치를 무효화하려는 이념이다. 성경 속 남녀 고유의 성과 도덕, 정절을 부정하고 동성애를 옹호한다.
박영라 우리아이지킴이 학부모연대 실행위원은 “현재 일부 초·중·고교 교과서에는 부적절한 성교육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이를 통해 아이들에게 왜곡된 성 가치관을 심어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청소년기의 성관계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교육하지 않고 성적 자기 결정권에 의한 권리로 가르치고 있는 점’ ‘청소년 에이즈의 93%가 남성 간 성행위를 통해 감염된다는 필수 정보는 가르치지 않는 점’ 등이 심각한 문제라고 봤다.
현숙경 침례신학대 교수는 젠더이론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그는 “젠더이론은 성별 구분의 와해를 가져왔다”면서 “젠더이론과 젠더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한 교육은 교육이 아닌 이념 주입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다음세대에게 남녀라는 올바른 성의 개념과 함께 책임과 자기절제, 가족의 중요성을 가르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건복지가족부 차관을 지낸 이봉화 대표는 여성가족부가 추진 중인 성 관련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대표는 “여성가족부의 젠더 정책은 편향된 젠더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면서 “성별 구분의 헌법 가치를 훼손하고 제3의 성까지 아우르려는 시도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성 정체성을 해체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안으로 제3의 성까지 인정하는 ‘성 평등’이 아닌 남녀라는 ‘실제적 양성평등’을 위한 사회 분위기 조성, 젠더 이데올로기가 실현되는 여성 정책에 대한 지속적 점검과 시민교육 강화, 가족의 보편적 가치 보존 등을 제시했다.
바른인권여성연합 관계자는 “급진 페미니즘과 젠더 이데올로기에 편향된 여성 정책들이 남녀 갈등을 넘어 사회 분열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자유롭고 존엄한 여성의 삶을 저해하는 사회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내 조화로운 양성평등 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