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우한에서 전세기를 통해 입국하는 우리 국민 700여명은 2주간 공무원 교육시설 두 곳에 나뉘어 격리 수용될 예정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 폐렴) 잠복기간(14일) 내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정부 관계자는 28일 격리 수용할 장소에 대해 “일반 국민이 불안해할 수 있는 만큼 지역 주민과 격리된 시설이어야 하고 평소 시설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감안해 결정하겠다”며 “기본적으로 공무원 교육시설이 가장 적합하다는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의 우려를 덜겠다는 것이다. 전세기에 함께 탑승하는 공무원과 승무원은 격리 수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 관계자는 “충분한 보호장구를 갖추고 관련 교육까지 받고 가기 때문에 별도의 격리 조치는 없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격리 수용 장소로 충남 천안의 교육시설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특정해서 말할 단계까지 오지 않았다”고 했다.
우한에서 교민들을 태운 전세기는 충청권의 한 공항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전세기 탑승 비용으로 한 사람당 30만원 정도를 추후 청구할 방침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우한에서 귀국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발열과 호흡기 증상 등을 즉각 점검할 계획이다. 증상이 없으면 능동감시 대상자로 분류해 증상 발현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발열과 호흡기 증상 중 하나의 증상을 보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여부 검사를 시행한다. 두 증상을 모두 보여야 격리해 감염 여부를 검사하던 질병관리본부는 28일 0시부터 둘 중 하나만 나타내도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특정된 검사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기존 코로나 감염 검사인 판코로나검사법이 사용된다. 검사가 완료되는 데 1~2일 정도 소요된다.
중국에서 온 일반적인 입국자는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인되면 곧장 격리해제되지만 우한에서 오는 교민들은 그렇지 않다. 14일가량 격리한 상태에서 증상 발현 여부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이날 천안 지역의 2곳이 격리 수용 장소로 정해졌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현지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천안시민 강모(31)씨는 “여기에 전문 격리 시설이 있다면 걱정이 덜하겠지만, 일반시설에 수용한다는 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손재호 김영선 기자, 천안=전희진 기자 say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