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탈핵 국가들 잇달아 ‘원전 유턴’… 대만도 원전 기한 연장

Է:2025-05-16 15:09
:2025-05-16 15:10
ϱ
ũ
벨기에 리에 지역의 티앙주에 있는 원자력발전소. AFP연합뉴스

유럽의 탈핵 국가들이 잇달아 ‘원전 부활’을 선언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벨기에 의회는 이날 새로운 원자로 건설 허용 등을 골자로 한 연방정부의 원전 산업 부활 계획을 찬성 102표, 반대 8표, 기권 31표로 가결했다.

벨기에는 22년 전인 2003년 탈원전을 선언하고 원전 가동 기한을 40년으로 제한하는 등 올해까지 모든 원전 가동을 단계적으로 중단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유럽 전역의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면서 기존 계획을 뒤집기 시작했다. 2023년 1월 가장 최근에 지어진 원전 2기의 가동을 예정보다 10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그해 2월에는 최장수 원전의 폐쇄를 2025년에서 2027년으로 미루겠다고 발표했다.

원전으로의 유턴은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덴마크의 라르스 오고르 에너지·기후장관은 지난 14일 현지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이 갖는 잠재적인 이점을 분석할 것이라면서 탈핵 기조의 변화를 시사했다.

덴마크는 1985년부터 원자력 발전 금지 정책을 도입하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 공급 정책을 고수해온 대표적인 친환경 국가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덴마크 전력의 80% 이상이 풍력, 바이오연료,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된다.

세계 최초의 탈원전 국가로 꼽히는 이탈리아는 지난 3월 원자력 기술의 사용을 허용하는 법안을 승인했다. 재생 에너지를 강조하던 스페인도 지난 달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은 뒤 향후 10년간 원자력 발전소 7곳을 폐쇄하려던 계획을 재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 부활 흐름은 아시아로도 이어지고 있다. 대만 입법원(의회)은 지난 13일 최장 40년이던 원전 설비 운영 면허 유효기간을 60년으로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하는 핵반응기 시설관리법 제6조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입법원 전체 의석 113석 가운데 51석을 가진 집권 민주진보당(민진당)은 소속 의원 전원이 반대표를 던졌으나 ‘여소야대’ 속에서 야권이 주도하는 개정안을 법안을 막지 못했다.

대만은 현재 운영 중인 제3원전 2호기의 운영 면허가 17일 만료되면 공식적으로 ‘탈원전 국가’가 될 예정이었다. 앞서 차이잉원 전 총통은 2016년 취임 당시 2025년까지 대만 내 모든 원자력발전소 원자로를 폐쇄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전력 생산을 대체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를 포함한 첨단 반도체 기업들의 전력 수요가 커지고, 인공지능(AI)이 전략 산업으로 떠오르면서 원전을 계속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야권을 중심으로 이어져 왔다.

세계적으로 원전에 대한 관심이 다시 커지면서 한국이 수혜국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전 세계에서 계획 또는 제안된 원전 사업 400여건을 분석한 결과, 한국이 이 중 43%를 수주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10년간 최대 원전 기술 수출국 중 하나로 발돋움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블럼버그는 미국의 원전 발전이 1979년 스리마일섬 사고 이후 멈춰 섰고, 프랑스가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사고 이후 원전 반대 여론에 직면해 고전한 것과 달리 한국은 50여년간 비교적 지속적으로 원전을 발전시켜왔다고 평가했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