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병’ 결핵? 한국 발병률 OECD 2위… “잠복결핵 관건”

Է:2024-09-20 14:39
:2024-09-20 15:54
ϱ
ũ

잠복결핵, 10%는 실제 결핵으로 진행돼
예방 위해 치료비는 전부 지원
질병청, 관련 정보 담은 안내책자 배포

발열, 오한, 기침 등 활동성 결핵 증상들

‘빈곤병’ ‘가난병’ 등은 모두 결핵을 칭하는 말이다. 이 탓에 많은 사람들이 결핵을 가난할 때나 있었던 질병 정도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는 오해다.

세계 경제 성장과 기술·위생 발달 등에도 불구하고 2022년 전 세계 결핵 환자는 오히려 늘어나 1060만명을 기록했다.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도 130만명에 달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경제 규모는 선진국 반열에 올랐지만 결핵 발생률이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2위에 해당한다. 사망률도 4위다. 2022년 기준 국내에서 감염병 사망자 중 코로나19를 제외하면 가장 많은 원인이 결핵이었다.

지난해 국내에서 1만 5640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한 가운데 결핵 예방을 위해 잠복결핵에 대한 우선관리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잠복결핵 감염자 10%는 실제 결핵으로 이어져
잠복결핵이란 몸 안에 들어온 결핵균이 인체 내 방어면역에 의해 결핵으로 진행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때 결핵균이 활동하지 않아 증상과 전염성은 전혀 없지만 면역력이 떨어지면 결핵으로 발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잠복상태를 쉽게 봐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질병관리청도 지난 19일 잠복결핵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잠복결핵감염 A to Z’를 개정해 발간했다. 본 소책자는 누리집(질병관리청, 결핵ZERO,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잠복결핵에 감염된 사람 10명 중 1명에게서 실제 결핵이 발병한다. 감염 2년 이내에 5% 정도 결핵이 발병하고, 그 이후 평생에 걸쳐 5%가 더 결핵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전염성 결핵환자와 접촉하는 등 결핵에 걸리기 쉬운 대상자는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받아야 한다. 또한 의료기관, 학교, 어린이집 등 결핵 발생 위험과 전파 위험이 큰 집단시설 종사자는 의무 검진 대상이다. 검진은 피부반응검사(TST)와 혈액검사(IGRA)를 통해 이루어진다.

65세 이상 고령자는 거주지역 보건소에서 연1회 무료 검사를 받을 수 있다. 결핵 환자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60%에 달하기 때문이다.

잠복결핵, 선제적 대응 위해 치료비 전액 지원

잠복결핵에서 실제 결핵으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잠복 중인 결핵균을 사멸시키는 치료제를 복용해야 한다. 표준 치료를 완료하면 최대 90%까지 결핵을 예방할 수 있다.

표준 치료는 ▲이소니아지드·리팜핀 3개월 복용 ▲리팜핀 4개월 복용 ▲이소니아지드 9개월 복용 중 하나를 택해 진행한다.
임시 검사소에서 결핵 검진을 진행하는 모습

치료비는 건강보험 재정을 통해 전부 지원된다.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결핵을 예방하고 전파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이다.

조은서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