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정부의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에 대해 “그동안 정부가 피해자의 입장을 존중하면서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과 미래 발전에 부합하는 방안을 모색해온 결과”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일 간의 미래 지향적 협력은 한·일 양국은 물론이거니와 세계 전체의 자유, 평화, 번영을 지켜줄 것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지금은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경제·과학기술·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국무위원들에게 “미래 지향적 협력을 위해 양국 정부의 각 부처 간 협력 체계 구축과 아울러 경제계와 미래 세대의 내실 있는 교류 협력 방안을 세심하게 준비하고 지원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 해법을 두고 피고 기업의 배상 참여와 사과 등 일본 측의 호응이 부족하다는 비판 여론이 일고 일부 피해자들이 반발하는 가운데 윤 대통령이 직접 결단의 배경을 설명하며 대국민 여론전에 나선 것이다.
윤 대통령은 경제·안보 등에서의 한·일 공동 이익과 미래 세대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한·일 관계를 거듭 강조했다.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사과를 받아내지 못해 굴욕적이라는 야권의 비판에 대해 ‘과거 대 미래’ 구도로 대응하려는 의도도 감지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제 과거 문제는 일부 매듭을 짓고,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는 게 윤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참모들에게 “대통령으로서 수행해야 할 외교·안보·국방 정책의 책임은 내게 있다”며 지지율 하락 우려에도 한·일 관계를 빨리 회복시켜야 한다는 의지를 피력했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한·일 정상의 ‘셔틀외교’ 복원을 추진 중이다. 이르면 이달 중순 윤 대통령의 방일이 성사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4월 말에는 미국을 방문해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어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선 한·미·일 정상회담이 이뤄질 전망이다. 한·일 관계 회복이 한·미·일 협력 강화로 이어지는 것이다.
여당도 정부 지원 사격에 나섰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대다수 국민은 더 이상 민주당의 ‘죽창가 타령’을 찬성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도 KBS라디오에서 “윤 대통령이 폭발물처리반 슈트를 입고 폭탄처리에 나선 것”이라며 “대승적인 대통령의 결단”이라고 옹호했다.
문동성 구자창 기자 theM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