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개들끼리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전파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반려동물이 인간까지 감염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내내 있었지만, 그동안은 가설 수준에서 머물렀다. 이를 규명한 국내 연구진은 방역 정책의 하나로 반려동물의 코로나19 검사와 백신 접종을 제안했다.
서울대 수의대 송대섭 교수와 전북대 수의대 유광수 연구관 등으로 이루어진 공동연구팀은 반려동물인 개를 이용해 코로나19 변이(델타·오미크론) 바이러스의 반려견 사이의 감염 및 전파를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발간하는 학술지 ‘신종 감염병(Emerging Infectious Diseases)’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진은 이번 실험을 위해 9개월 된 수컷 비글 9마리를 준비했다. 이 가운데 2마리씩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시켰다. 감염 24시간이 지난 후에는 감염되지 않은 비글을 다시 2마리씩 감염된 비글과 합사시켰다. 이후 열흘간 체온과 체중을 기록하는 등 개들의 건강상태를 관찰했다. 비글 1마리는 별도의 대조군으로 두었다.
그 결과 한 공간에서 지내기 시작한 지 2일 차부터 8마리 개의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됐다. 이후 8마리 개를 부검한 결과 모든 개의 폐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폐포벽이 일부 두꺼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비글 2마리의 혈액에서는 크레아틴 키네이스라는 성분이 정상 범위보다 거의 8배 높게 나타났다. 이 성분은 근육이 손상됐을 때 급증한다. 연구진은 합사한 비글 간의 물림이나 다툼이 있었을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오미크론 감염의 결과로 확정하지는 않았다.
연구진은 또 감염된 모든 비글에게서 체중이 줄어들거나 열이 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체중 감소와 고열과 같은 코로나19 감염 증상이 개들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뜻이다.
국내 연구진은 논문에서 “반려동물의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계속 모니터링해야 한다”며 “반려동물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