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가 재외동포청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펼친다. 민주·인권·평화의 도시로서 재외동포 권익보호와 국내 정착의 전진기지로 자리매김한다는 구상이다.
광주시는 “정부가 올해 상반기 신설할 예정인 재외동포청 유치 신청 절차를 곧 밟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전국 최대 규모인 월곡동 고려인마을 공동체 조성 경험을 기반으로 재외동포의 다양한 민원 처리와 권리 실현을 위한 재외동포청을 끌어온다는 것이다.
시는 7000여 명이 거주 중인 고려인마을 공동체를 토대로 고려인 등 재외동포들이 그동안 국내 귀환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정보와 효율적 지원체계를 제공해 안정적 정착이 이뤄지도록 한다는 것이다.
실제 시는 지난해 2월 러시아 침공에 따라 우크라이나 떠나게 된 재외동포들을 위해 가장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항공료 지원 모금 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쳤다.
이를 통해 그동안 875명의 우크라이나 거주 고려인을 국내에 입국시켰고 이 중 700여 명이 광주에 정착했다. 이들이 광주에 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1년 동안 시민과 기업 등 지역사회가 ‘항공권’ 구매비용으로 모금한 후원금은 9억여 원에 달한다.
시는 고려인을 포함한 재외동포 정착에 필수적인 지역사회의 공감대가 비교적 잘 구축돼 있다고 강조했다.
광주에는 이 같은 사회적 자본을 활용해 오는 5월 광주에서는 세계고려인단체총연합회가 출범한다. 광주에 본부를 두게 될 연합회는 중앙아시아 재외교포들의 국내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시는 세계 193개국 재외동포 732만 명을 위한 대외정책과 각종 교류사업을 총괄할 재외동포청이 광주에 들어서면 민주·인권·평화 도시의 위상을 더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지난 16일 전체회의에서 정부조직법을 개정해 신설되는 재외동포청은 법무부와 외교부, 병무청 등 여러 중앙부처에 분산된 재외동포 관련 민원업무를 일원화해 재외동포를 지원하거나 상담하는 기능을 전담한다.
국적이나 입국·체류 문제는 물론 국내 정착 과정에서 법체계를 잘 몰라 겪는 고충을 덜어주게 된다. 해외에 거주 중인 재외동포들을 위해서는 각종 교류사업으로 상호이해와 협력체계를 강화해 한국과 든든한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개정된 정부조직법이 법제사법위를 거쳐 오는 2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정부는 상반기 중 재외동포청을 신설할 방침이다. 외교부에서 재외동포 정책 기능을 넘겨받고 재외동포재단 사업기능을 통합해 법무, 영사, 병무 분야의 원스톱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현재 재외동포재단이 위치한 제주와 근대 이민의 출발지로 거론되는 인천, 정부 주요 부처가 집적화된 세종시, 다문화 인구가 많은 경기 안산시가 저마다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박용수 광주시 민주인권평화국장은 “고려인들의 정착을 돕는 과정에서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재외동포청을 유치할 것”이라며 “지역 균형발전 차원의 정책적 배려가 뒤따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