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문재인 정부 ‘블랙리스트 의혹’의 시발점이 된 백운규(58)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11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당시 이전 정권에서 임명된 부처 산하기관장들의 사퇴 종용이 있었다는 의혹과 관련한 백 전 장관의 구속영장이 기각된 지 5개월여 만이다.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서현욱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백 전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이 마지막으로 백 전 장관을 부른 것은 지난 6월 중순이다. 당시 14시간에 걸친 첫 소환조사를 한 바 있다.
백 전 장관은 산업부 장관 재직 시절인 문재인 정부 초기 13개 산하기관장에게 사직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한 혐의 등을 받는다.
백 전 장관은 또 2018년 10월 1일부터 올해 9월 30일까지 지역난방공사 사장을 지낸 황창화(63)씨에게 면접 질문지와 답안지 등을 전달해 부당하게 지원한 혐의도 받는다. 전임 사장인 김경원(64)씨는 2018년 5월 임기를 1년 1개월 남긴 시점에서 사표를 냈다.
앞서 검찰은 지난 5월 19일 백 전 장관의 자택과 사무실 등을 전방위적으로 압수수색했으며, 지난 6월 9일 백 전 장관을 14시간가량 소환조사한 후 같은 달 13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도주와 증거인멸 우려가 없다는 이유로 기각됐다.
문재인 정부 시절 ’블랙리스트 의혹’ 수사는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이 2019년 1월 백 전 장관과 이인호 전 산업부 제1차관 등을 검찰에 고발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자유한국당은 한국전력 자회사 사장 4명이 문재인 정부 첫해인 2017년 산업부 ‘윗선’의 압박으로 일괄 사표를 냈다고 주장했다.
자유한국당은 정부 국책연구기관장과 공공기관에도 이같은 사퇴 압박이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2019년 3월 유영민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조명균 전 통일부 장관, 홍남기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11명을 검찰에 추가로 고발했다. 검찰은 백 전 장관의 구속영장이 기각된 뒤인 지난 7월 통일부와 남북하나재단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 폭을 넓혀왔다. 지난달 7일과 28일에는 각각 유 전 장관과 조 전 장관을 소환해 조사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