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76개월째 이어진 탈울산 행렬를 막기 위해 인구지도를 만든다.
울산시는 인구 정책 방향 설계를 위한 ‘울산시 미래 인구맵 설계 용역’에 착수 한다고 2일 밝혔다.
용역은 아태인구연구원이 수행하며, 중간·최종 보고회를 거쳐 11월 완료될 예정이다.
용역 주요 내용은 울산 인구 진단, 인구 추계 모니터링을 위한 예측 모형 설계, 시나리오별 인구 변화 예측, 울산 미래 연표 발굴 및 제작, 국내·외 우수 사례 분석 등이다.
시는 용역을 통해 울산의 미래 성장동력인 20~39세 청년 정책 전략과 방향을 모색하고 인구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인구에서 비롯된 변화와 사회 변화 속에서 미래 사회의 방향성을 찾는다는 방침이다.
용역에서는 구군을 생활권역별로 분할해 출생·사망·이동 등의 인구 현상을 진단하고 권역별 활동 인구를 도출해 1일 생활권역 범위를 도출한다. 시나리오를 통해 달성 가능한 시 및 권역별 목표 인구도 제시한다.
또 시나리오별 인구 변화를 예측하고 울산 미래 연표를 제작하며, 국내외 정책 사례를 분석해 울산 맞춤형 인구 정책의 방향을 찾아낼 예정이다.
특히 이번 용역에는 인구 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로 알려진 조영태 서울대 교수가 연구원으로 참여해 기대를 모은다고 시는 설명했다.
울산의 총인구는 1997년 광역시 승격당시 101만3070명에서 2015년 11월말 120만64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다음달인 12월 119만9717명으로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6년 이상 줄곧 감소해112만명을 기록했다.
울산의 인구감소는 동구, 중구, 남구 지역을 중심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2015년 기준 중구는 1만 6797명, 남구는 1만 6900명, 동구는 1만 6113명 줄었다. 반면 북구는 2만594명, 울주군은 852명 늘면서 울산전체 인구감소폭을 줄였다.
인구유출의 핵심원인은 조선업이 장기 불황에 허덕이면서 근로자들이 울산을 떠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울산과 접한 부산과 양산, 경주 등지에서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이 잇따라 진행되고있는 것도 탈울산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용역 결과는 인구 활력 증진 시책 추진 시 인구 구조 변화에 대한 계량화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미래 예측 모형 설계를 통해 장기적인 울산형 인구 정책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