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서울에 거주하는 2030 세대 삶을 분석한 ‘2021 서울서베이’ 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이들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49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용 형태가 불안할수록 수면시간이 짧았다. 여가 생활은 주로 영상시청으로 보냈다.
주택 문제 등으로 인해 서울의 2030 세대 인구의 탈 서울화 현상도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가 서울에 사는 2만 가구(15세 이상 4만411명)와 시민 5000명, 외국인 25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6일부터 11월 16일까지 진행했다. 면접 조사와 온라인 조사가 병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에 거주하는 2030 세대(만 20∼39세)는 총 286만 명이었다. 여성(146만)이 남성(140만)보다 많았다. 서울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1%다.
7년 전과 비교해 2030 세대 인구는 8.2% 감소했다. 시 전체 인구 감소 비율(-5.1%)보다 높았다. 2030 세대가 다른 세대보다 더 많이 서울을 떠나고 있다는 뜻이다.
인구 감소의 주된 사유는 서울시 밖으로의 전출이었다. 서울시 전출 인구 2명 중 1명은 2030 세대였다. 전출 사유를 보면 20대는 가족, 직업 순, 30대는 주택, 가족 순이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30대의 이동 요인 중 ‘주택값’이 있다. 이와 관련해 더 많은 정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2030 세대가 가장 많이 사는 곳은 관악구(39.9%)였다. 이어 광진구(34.2%), 영등포구(34.0%) 순이었고 가장 적게 사는 곳은 노원구(26.0%)였다.
2030 세대는 여가 생활로 주로 실내활동인 영상시청(주중 49.7%, 주말 30.7%)을 했다. 하지만 희망하는 활동으로는 외부활동인 여행·야외나들이(14.7%)와 문화예술관람(14.3%)이 각각 1위, 2위로 꼽혔다.
서울 2030세대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49분이었다. 유급 인턴의 수면 시간은 6시간 7분, 정년이 있는 정규직의 수면 시간은 6시간 44분이었다.
2030 세대의 절반가량(46.6%)은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답다. 그 원인으로 대인관계(23.0%), 재정상태(22.7%), 과도한 업무·학습량(22.2%) 등이 꼽혔다.
2030세대의 결혼에 대한 가치관은 여성과 남성 간 의견 차를 보였다. 결혼을 반드시 해야한다는 인식은 남성이 5점 만점 중 2.85점으로 여성(2.47점)보다 높았다. 자녀가 있어야 한다는 응답도 남성(2.82점)이 여성(2.43점)보다 높았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