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주행차 시장의 폭발적 성장세가 예상되지만, 한국은 규제에 막혀 뛰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의 자율주행차 주행거리와 관련 데이터 축적 규모가 미국이나 중국보다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주행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 규제를 줄이고 대규모 실증단지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5일 자동차산업연합회(KAIA)에 따르면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은 2020년 71억 달러(약 9조원) 수준에서 2030년 6565억 달러(약 815조원)까지 확장할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미국과 중국에서 1000대 이상의 자율주행차가 시범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걸음마 수준이다. 한국에서 시범서비스를 하는 자율주행차는 30여대가 전부다. 자율주행 시범서비스 지역도 7곳뿐이다.

조창성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스마트안전실장은 온라인으로 열린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미국 웨이모는 3200만㎞(2020년 기준), 중국 바이두는 2100만㎞(지난해 기준)에 달하는 주행거리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와 달리 한국은 모든 업체를 합쳐 72만㎞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질적 차이도 컸다. 미국 중국 등은 무인으로 시범운행을 한다. 지정된 지역에서 운행 경로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반면 한국은 보조 운전자가 탑승해야 하고, 특정 노선에서만 시범운행 가능하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미국 중국 등과 비교해 기술 수준이 미흡한데, 기술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축적도 뒤처져 있다. 규제 프리존(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완화)을 적용하고 대규모 실증단지를 지정해 기업이 기술성과 사업성 테스트를 마음껏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택시나 버스 같은 대중교통의 자율주행 시범서비스 경험을 축적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전 세계에서 운행되고 있는 로보택시는 지난해 617대에서 2030년 144만5822대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웨이모, 바이두, 독일 렌터카업체 모빌아이 연합 등은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해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조 실장은 “자율주행차는 택시, 버스 등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들 운송 수단의 다양한 시범서비스에 대한 경험 축적이 첫 번째”라고 강조했다.
임원택 에이스랩 대표는 자율주행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과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임 대표는 “우리나라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고 있다. 대규모 실증베드를 구축하고 산학연 연계를 통한 신규인력 양성과 관련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을 방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