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여성의 날인 8일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여성 고용환경이 악화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코로나19로 보육과 가사노동 부담이 늘면서 여성들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하게 됐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회계 네트워크 PwC는 이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국 여성의 고용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한 ‘여성 고용 환경 지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 내 여성 고용 관련 지표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상승했지만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시작한 지난 2020년 처음으로 하락했다.
그간 추세에 따르면 2020년 여성 고용 환경 지표는 65.9일 것으로 예측됐었다. 하지만 실제 지표는 64로 나타나 전년보다 0.5포인트 감소했다.

코로나19 기간 나타난 여성의 높은 실업률과 여성의 낮은 노동시장 참여율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PwC는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여성 실업자는 510만명 더 증가했고 노동 시장에 참가하는 여성의 수는 520만명 줄어든 것으로 추산했다.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육아와 가사노동에 대한 여성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보육 의무 여성 전담 비율 남성보다 3배 높아
보고서에서는 OECD 보고서를 인용해 펜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기간 학교 또는 보육 시설의 폐쇄로 인해 자녀 돌봄 의무를 여성이 전담한 비율이 남성과 비교할 때 3배 더 높았다고 설명했다.
PwC 영국 수석 경제연구원 라리스 스티로우는 “코로나19 팬데믹은 노동시장에서 양성평등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며 “후퇴한 여성의 고용 환경 지표를 되돌리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여성·사회적 약자들을 고려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PwC는 여성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최소 30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남녀 성별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최소 63년이 필요하고, 여성의 실업률이 남성 실업률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하기까지는 최소 9년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PwC는 노동시장 내 육아와 가사노동이라는 근본적인 성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 유연한 근로시간 선택권이 주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남녀가 동일하게 유급 육아휴직을 받을 수 있는 정책들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PwC 글로벌 기후대응 리더 엠마 콕스는 “기업과 정부가 새로 창출되는 녹색 일자리 분야에 여성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당 분야에서 여성의 진입장벽을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