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폭증하면서 사회 필수기능인 치안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경찰관 대부분이 3차 접종까지 마쳤지만 곳곳에서 감염으로 인한 근무 이탈자가 나오면서 치안 공백 우려 목소리가 나온다. 당장 시민 안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지구대 업무에 차질이 생기고, 형사사건 조사 일정이 미뤄지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
서울의 한 지구대에는 최근 들어 순찰차가 멈춰있는 모습이 자주 눈에 띈다. 자가격리 인원이 발생하면서 순찰 인력이 부족해지자 전체 순찰차 6대 가운데 1대를 멈춰 세웠기 때문이다. 지구대 관계자는 17일 “대체 인력이 지원된다고는 하지만 바로바로 보충이 안 되면 기존 인력으로 버텨야 한다”며 “현장 인력이 모자라면 순찰차가 멈출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현장 출동이 많은 지구대의 경우 순찰차가 1대만 멈춰서도 신속한 현장 대응을 하는 데 애를 먹는다고 한다.
수사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수사팀에서 확진자가 나오거나 밀접접촉자로 분류돼 자가격리자가 생기면 예정된 조사 일정이 밀릴 수밖에 없다. 서울 한 경찰서 여성청소년과 관계자는 “업무 대행자를 지정하곤 있긴 하지만 사실상 유명무실하다”며 “자기 일도 바쁜데 남의 사건까지 제대로 살펴볼 여력이 없다. 자가격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예정된 조사는 일단 미루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사건 피해자들이 “왜 이렇게 수사 속도가 더디냐”고 항의하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담당 수사관이 확진되거나 자가격리 대상자가 될 때마다 ‘코로나로 조사 일정이 잠시 중단됐다’는 안내를 할 수밖에 없다.
연일 확진자 수가 치솟는 상황이라 앞으로가 더욱 문제다. 일선 경찰서의 한 형사는 “조사 일정이 일부 지연되는 것은 어떻게든 사정을 말해 설득하겠지만, 경찰 내부 확진자가 더 늘어나 긴급한 현장 출동에 차질이 생길까봐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실제 인천 부평경찰서 소속 부평2파출소는 지난 15일 소속 경찰관 35명 가운데 19명이 무더기로 코로나19에 감염되는 바람에 임시 폐쇄됐다. 음성 판정을 받은 나머지 경찰들만 파출소에 남아 무기고를 지키는 ‘필수근무’에 돌입하고, 현장 출동은 인근 지구대의 지원을 받고 있다. 주변 지구대에서 관할 구역을 넘어 현장에 투입되다 보니 112신고 대응 속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경찰청은 대규모 확진자로 인한 치안 공백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 계획에 해당하는 ‘업무연속성계획(BCP)’을 수립한 상태다. 형사나 지구대·파출소와 같은 필수 기능의 경우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면 해당 팀을 업무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팀들이 나눠서 근무하는 식이다. 확진 규모가 더 커져 관서 전체가 마비되면 인근 관서들이 업무를 나눠 맡는다. 경찰청 관계자는 “동시다발적으로 대규모 확진자가 나오는 최악의 상황에는 기동대를 추가 투입하는 등 인력을 적극적으로 재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판 신용일 박민지 기자 p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