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처음 2만명을 넘어서며 ‘휴일 효과’도 사라졌다. 통상 검사 수가 감소하는 주말과 휴일에는 신규 확진자 수가 적게 나오는 경향이 있지만, 설 당일인 1일 하루에 2만명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검사에 참여하지 않은 양성자는 훨씬 많을 것으로 관측된다. 3일 전국적으로 새로운 진단검사체계로 전환되면 확진자 집계도 새로운 기준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검사 수 줄었는데… 확진자는 사상 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2만270명이라고 발표했다. 전날 하루 동안 집계된 신규 확진자 수다. 연휴 기간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달 29일부터 1만7513명→1만7528명→1만7079명→1만8342명→2만270명으로 집계됐다. 연휴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연일 최다치를 기록하며 지난달 26일 첫 1만명대로 올라선 지 일주일 만에 2만명대로 증가했다.
설 연휴로 검사 건수는 대폭 줄었음에도 나타난 결과다. 검사 건수는 1월 27∼28일 29만건대를 기록했다. 이후 29일 34만건대까지 올라섰으나 30일부터 나흘간은 19만∼22만건대로 감소했다. 검사자 10%가량이 양성 판정을 받은 셈이다. 전파력이 기존 델타 변이보다 2배 이상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에서 본격 확산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오미크론은 지난주 80%의 검출률을 기록하며 국내 지배종으로 자리 잡았다.
검사에 참여하지 않아 수치에 집계되지 않은 실제 양성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는 휴일이 아니었다면 이날 0시 기준 확진자가 일주일 전인 지난달 26일(1만3009명)의 2배인 2만6000명 이상을 기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기존 명절에는 검사 건수가 줄면서 확진자 수 집계도 감소했는데, 이번에는 그런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제 유행 규모는 더 클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휴가 끝나면 신규 확진자 집계치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 교수는 지난달 27일 질병관리청이 마련한 오미크론 토론회에서 최소 10만명 정도에서 정점을 이룰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기도 했다. 빠르면 이달, 늦으면 다음 달 안에 하루 10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뒤 유행 규모가 잦아들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앞서 정부는 정점을 3만명 규모로 가늠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달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확진자 수를 예측해달라는 질문에 “10만∼20만명 (예측은) 아주 비관적인 사람들이 그렇게 보는 것”이라며 “정부와 같이 일하는 분들은 3만명 정도에서 피크(정점)를 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일주일 사이 확진자가 2배 정도 증가한 현재 추세를 고려하면 3만명 돌파는 시간문제가 될 전망이다.

증가세 예측 쉽지 않아
방역 환경을 악화시키는 여러 변수가 산재해 있어 앞으로 확진자 증가세를 예측하기도 쉽지 않다. 오는 6일 종료되는 ‘사적모임 4인·영업시간 오후 9시’ 제한이 첫 번째다. 7일부터 거리두기 조치가 변경되면 확산세를 키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정부는 거리두기를 현행보다 강화하지는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었다. 만약 지금보다 완화하면 의료계가 예측한 ‘최소 10만명’ 전망치에 더욱 빠르게 다가가거나 정점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
바뀐 진단검사체계도 무시 못 할 변수로 지목된다. 정부는 오미크론 유행으로 확진자가 폭증해 의료계 대응 부담이 커지자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60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만 시행하기로 했다. 대신 자가검사키트를 활용하는 신속항원검사를 확대 도입하는 새 진단검사체계를 지난달 말부터 도입했다. 이 체계는 3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다.
고위험군이 아닌 사람은 선별진료소에 가도 직접 자가검사키트로 검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키트에서 양성이 나와야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또는 호흡기전담클리닉이나 지정된 병·의원에서 의료인이 해주는 신속항원검사를 받아야 한다.
방역당국은 최종 PCR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경우만 ‘확진’으로 집계한다. 이에 따라 신속항원검사가 널리 시행되면 신규확진자 집계치와 실제 확진자 수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문제는 신속항원검사의 정확도가 PCR 검사보다 훨씬 떨어진다는 점이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측은 “신속항원검사의 민감도는 의료인이 시행해도 50% 미만, 자가 검사로 시행하면 20% 미만”이라고 지적했다.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양성자를 식별하지 못하면 감염자가 바이러스를 전파할 위험성이 있다.
정 교수는 “신속항원검사 확대 시행으로 (실제보다) 확진자 규모가 작게 나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히려) 유행 규모를 늘리는 효과가 나올 수도 있는데,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칠지는 추이를 봐야 한다”고 내다봤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