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우리 국민들이 문학 책을 평균 2.3권 읽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문학 책을 읽지 않는 이유로는 시간 여유가 없고, 흥미롭지 않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조사한 ‘2021 문학 실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민 43%가 문학 독서 경험이 있고 평균 문학 독서량은 2.3권으로 조사됐다.
문학책을 읽지 않는 이유로는 ‘시간 여유가 없다’(35.7%)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문학책이 흥미롭지 않다(30.6%) 적합한 문학책을 고르기 어렵다(13.4%)가 뒤를 이었다.
연령대가 낮고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문학책을 읽는 경험률이 높았다. 지난해 문학 도서 구매 경험이 있는 국민은 34%였다. 학력이 높을수록 구매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평균 구매량은 1.3권이었고 전년 대비 문학 책 구매량이 감소했다는 응답(29.9%)이 증가했다는 답(10.3%)보다 3배 가량 많았다.
문학인들의 창작 분야는 시가 39.6%로 가장 많았다. 소설이 24.2%, 수필이 12.6%로 뒤를 이었다.
문학 작가 외의 직업을 보유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58%였다. 전업 작가라고 응답한 비율 42%보다 높았다.
전업 작가도 29%가 창작활동 외 경제활동을 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문학인의 창작환경과 문학관, 문학단체 현황, 국민의 문학 향유 실태를 파악하고자 문학인 2026명, 만 15세 이상 일반 국민 2000 명 등을 대상으로 9월 28일부터 11월 16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