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급증하며 중증 병상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방역 당국은 일상회복을 중단하고 방역 조치를 강화하는 ‘비상계획’을 발동할 수준은 아니라고 16일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온라인 브리핑에서 “현재 단계에서는 아직 의료체계 여력이 있어 (이달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을 중단하고 비상계획을 발표할 상황까지로 보고 있진 않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유럽 등 외국에선 일상회복 이후 대규모 유행까지 촉발된 상황이지만 우리나라는 대규모 유행으로 평가할 정도로 커지진 않았다”며 “극단적인 조치를 강구할 정도로 위험한 상황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 상황은 유럽 등 해외의 대유행처럼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특히 확진자 규모 자체가 폭발적으로 커진 해외 사례와 달리 국내에서는 60세 이상 고령층과 특정시설에서 감염이 늘어 위중증 환자가 증가한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방역 당국은 설명했다.
손 반장은 “국내 확진자 규모는 위기 시나리오에 있던 5000∼7000명 규모가 아니라 2000명 초·중반대로 전개되고 있고, 다만 60세 이상의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위중증 환자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 달 전에는 60세 이상 확진자가 전체의 17∼18%였는데 지난주에는 35∼36% 정도로 증가했다”며 “현재는 추가접종을 신속히 진행하고, 요양병원 면회 제한, 종사자 방역관리 강화 등을 통해 위중증 환자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단계”라고 덧붙였다.
이날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495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하며 현 의료체계가 관리할 수 있는 한계치인 500명에 육박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76.1%다.
이에 대해서도 정부는 의료체계에 여력이 있어 비상계획까지 발동할 상황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손 반장은 “수도권의 경우 중환자실 가동률이 올라가고 있으나 지역별 이송이 가능하며, 준중환자-중환자실도 확충 작업을 하고 있다”며 “대규모 유행이 촉발되고 있다기보다는 고령층과 특정시설 중심으로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비상계획을 당장 발동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도 비상계획 발동 기준이 되는 ‘병상 가동률 75%’를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차 밝혔다. 손 반장은 “병상이 100% 꽉 찼을 때 조치를 취한다기보다 75~80% 등 일정 정도 여유를 주는 자체가 지역적 불균형 등을 고려한 조치”라며 “수도권은 충청권 인접지역 등의 병상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체계가 가동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